산업 IT

오성목 KT 사장 "내년 3월 5G 상용화로 기업고객 공략하겠다"

내년 3월 서울과 일부 대도시 중심으로 5G 망 구축

일반고객은 5G 통신칩 나오는 내년 4월 이후 체감 가능

블록체인 도입해 5G 보안도 강화 예정




KT(030200)가 커넥티드카와 빅데이터 등 기업대상(B2B)의 5G 서비스를 내년 3월 국내 최초로 선보인다. 일반고객(B2C) 대상의 5G 서비스는 관련 단말기가 출시되는 내년 2·4분기께 본격화될 전망이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장은 22일 광화문 KT 사옥에서 간담회를 열고 “내년 3월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에 5G 서비스를 상용화 하겠다”고 밝혔다. KT는 현재 5G 관련 특허를 100여개 보유한 만큼 오는 6월 5G 1차 표준을 발표하는 세계이동통신표준화기구인 3GPP와 협력을 강화해 관련 생태계를 주도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5G는 LTE 대비 3배가량의 설비투자가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LTE망을 활용한 핸드오버 기술을 활용하면 그보다는 낮게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의 최대 이통사인 버라이즌이 도입 예정인 고정형무선액세스(FWA)와 같은 기술은 현재 네트워크망으로도 충분히 서비스 할 수 있다고 판단해 표준 5G기술에 집중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오 부문장은 정부가 오는 6월 예정된 5G 주파수 할당 시 대역폭을 큰 단위로 줘야 서비스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그는 “현재 LTE 주파수는 20MHz 단위 등으로 파편화 돼 있어 간섭 현상 등이 일어난다”며 “5G에서는 100MHz와 같은 블록단위로 주파수를 배분해 간섭 현상 등에 신경 쓰지 않게 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5G와 관련한 보안 이슈에 대해서는 “5G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하는 기기가 대단위이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하며 블록체인 기술 활용 방안 등을 검토중”이라며 “양자암호통신 또한 지난해 KIST와 공동연구센터를 설립 하는 등 5G 보안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다만 5G가 내년 3월 상용화 되더라도 인텔, 퀄컴, 삼성전자, 화웨이 등이 그 이후에나 5G 전용 칩셋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돼 소비자가 이를 체감하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오 부문장은 “5G 상용화의 첫 번째 타깃은 기업고객이 대상이며 5G 칩셋이 탑재된 단말기는 내년 2·4분기에 나올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들 업체와의 조율로 출시 시기를 앞당겨 보겠다”며 “5G관련 B2B와 B2C 요금제 분리 방안 등에 대해서는 내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KT는 올 상반기 중으로 KT연구개발센터에 ‘5G 오픈랩(Open Lab)’을 선보이고 각종 스타트업들이 5G 관련 기술을 개발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5G에서 활용 가능한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등의 콘텐츠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 점을 감안해 관련 생태계 활성화로 수익 모델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