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중증 외상사망률 20%로 낮춘다…현재 30%에서 2025년까지

정부, 외상센터 간호사 인력 2배로

정부가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을 오는 2025년까지 현재의 3분의2 수준인 20%로 떨어뜨리기로 했다. 또 외상센터 내 간호사 인력을 지금보다 두 배 늘린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중증외상 진료현장을 개선하기 위한 3대 분야 27개 과제를 심의했다. 먼저 정부는 환자가 적절한 응급처치를 받고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외상처치 매뉴얼을 제작하고 응급실 분포 및 도로망을 반영한 지역별 이송지침, 이송지도를 만든다. 또 의료·소방·군·경찰 헬기 등 정부부처가 보유하고 있는 122대의 헬기를 최대한 공동 활용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외상센터 중환자실 전담 인력을 확충하기 위해 인력 지원도 늘린다. 이국종 아주대병원 중증외상센터장과 같은 전담전문의 1인당 인건비 지원액을 1억4,400만원으로 지금보다 20% 늘린다.

이외에 중증외상환자의 특성을 반영한 건강보험 수가 개선을 추진하고 보건복지부·소방청의 응급의료 데이터베이스(DB)를 연계해 환자 이송·진료 과정의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이를 통해 국내 전체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을 현재 30%에서 2025년까지 20%로 낮추기로 했다. 이 총리는 “중증외상진료를 맡을 권역외상센터의 확충은 이제 더는 미룰 수 없는 절박한 과제가 됐다”면서 “권역외상센터의 확충을 통해 대한민국은 생명의 위기에 처한 모든 사람이 최대한 가까운 시간에 최대한 가까운 장소에서 최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아 생명을 지키는 나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