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백브리핑] 금감원장 공석 장기화되나

인물난에 재산까지 송곳 검증

지방선거 판도 악영향도 우려

금융권 "7월 이후 선임될 듯"

사상 초유의 금융감독원장 공석(空席) 사태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금융권에서 나오고 있다.


첫째 이유는 인물난이다. 전임인 최흥식 전 금감원장이 채용비리 의혹으로 갑자기 물러나게 돼 후보군 선정부터 원점에서 시작해야 한다. 윗선에서 미리 점찍어둔 인물이 있는 게 아니라면 후보를 추려내는 데만 한 달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최 전 원장이 선임되는 과정에서 몇몇 관료 출신 인사들이 후보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이번에는 모두 리스트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청와대는 참신한 인물을 원하는데 마땅한 인재가 없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관련기사



둘째는 검증의 까다로움이다. 금감원장은 청문회를 거치는 자리는 아니다. 하지만 최근 청와대 인사 검증에서 과거 범법 사례 등 결격 사유뿐 아니라 ‘강남 아파트’ 등 재산 과다 보유 여부 등도 따지고 있어 허들을 넘기 쉽지 않다.

마지막 변수는 오는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신임 금감원장에 대한 또 다른 채용비리 의혹이 불거질 경우 선거 판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서다. 특히 금융권에서 채용 추천이 과거에 일종의 관행이었던 만큼 흠결이 없는 인물을 찾기 쉽지 않다. 만약 신임 금감원장이 채용비리 등 예상하지 못한 악재에 휘말리면 선거 판세는 물론 전체 금감원 조직과 금융권에도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결국 지방선거가 지나고 7월은 돼야 금감원이 새로운 수장을 맞이할 수 있다는 게 금융권의 중론이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