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피해 경험 자전소설 '다크 챕터' 쓴 위니 리 방한 "성폭행 피해자에도 밝은 미래 보여주고 싶어"

잘못은 오로지 가해자의 몫

피해자는 수치심 안 가지길

당한 일 사회에 공론화하고

가해자들 정확히 분석해야

추가 피해자 더이상 안 나와

성폭행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소설 ‘다크 챕터’를 펴내 화제가 된 대만계 미국인 위니 리가 26일 서울 서소문로 순화동천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제공=한길사성폭행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소설 ‘다크 챕터’를 펴내 화제가 된 대만계 미국인 위니 리가 26일 서울 서소문로 순화동천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제공=한길사



“수치심 때문에 많은 성폭생 희생자들이 피해 사실을 밝히지 못합니다. 피해자들이 수치심을 느끼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수치심은 만들어지는 감정이거든요.”

실제로 성폭행을 당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소설 ‘다크 챕터(한길사)’를 펴내 화제가 된 작가 위니 리(40)는 서울 서소문로 순화동천에서 방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성폭행은 무조건 가해자 잘못인데 왜 피해자인 내가 수치심을 느껴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래서 그런 수치심을 처음부터 단호하게 떨쳐낼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위니 리는 미국 뉴저지주에서 태어난 대만계 미국인으로 하버드대를 졸업하고 영국에서 영화제작자로 활동하던 중 지난 2008년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하이킹을 하다 낯선 15세 소년에게 성폭행을 당했다. 이후 그는 5~6년 동안 치유의 과정을 거쳐 이 경험을 생생히 담은 자전소설 ‘다크 챕터’를 썼다. 그는 이 사건에 대해 “내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놓았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소설 집필에는 역시 큰 용기가 필요했지만 주위 친구들에게 비슷한 경험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들으며 성폭력이 이 사회에 만연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것을 글로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용기를 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소설에서 피해자들이 흔히 알려진 나약하고 수치스러운 모습이 아니라 과거가 있었고 밝은 미래가 있으며 저항할 수 있는 힘을 지녔다는 사실을,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 밝히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그의 경험을 세상에 드러내기에는 수치스럽고 불명예스럽다는 주위의 만류에도 그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시점을 교차시킨 흡인력 있는 강한 스토리와 간결하고 강렬한 문체로 독자들을 긴장감 속에 빠져들게 했다. 또 이 작품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야기를 교차시키면서 풀어가는 과정에서 성폭행이 만연할 수 있는 환경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여준다. 이에 대해 그는 “이 소년이 내 인생을 망가뜨리고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지만 무엇이 이 소년을 이렇게 만들었을까 궁금했다”며 “이 소년의 성장 배경과 범죄의 요인을 파악하고 공유하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이런 성폭력 문제가 지속적으로 일어날 거라고 생각했다. 가해자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 앞으로 우리가 성폭력 피해를 근절하고 방지할 수 있을 거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는 또 피해 경험을 밝히고 공론화하는 일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제 경우는 하버드를 졸업하고 영국에서 영화제작자로 일한 나름의 상류층의 삶이 피해 사실이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데 도움이 됐습니다. 미디어에서 제 얘기를 많이 믿어줬습니다. 하지만 많은 피해자가 저 같은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그는 이어 “서구 사회에서도 중상류층 여성들이 성폭행을 당하면 언론에 보도되지만 이민자나 외국인노동자 같은 여성들이 성폭행당하면 이슈가 되지 않는데 이것은 큰 문제”라며 “그래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으로 경험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피해자들은 초반에 익명성을 보장받으며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이런 이야기들이 공유되면 여러 개의 점이 연결되듯 연대가 구축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소설 ‘다크 챕터’는 영국에서 지난해 6월 출간돼 가디언지의 ‘독자가 뽑은 최고의 소설’로 선정됐으며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출간됐다. “한국에서 현재 ‘미투’ 운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는 기사를 많이 접했는데 이런 시기에 맞물려 책을 출간하게 돼 기쁩니다. 그동안 권력을 지녔던 가해자들이 고소되고 있다고 들었는데 그 피해자·생존자·페미니스트들과 만나 여러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사진제공=한길사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