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주물조합, 공장 가동 중단 4월16일로 미뤄

한미FTA 개정협상 타결로 車 업계 위기 상황 고려

일부 완성차 대기업 긍정적 검토 선회도 영향 미쳐

주물업계가 26일 예정됐던 공장 가동 중단을 4월 16일로 미뤘다. 일부 자동차 대기업이 납품단가 인상에 긍정적으로 돌아선 것과 최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 타결로 완성차 업계가 어려움에 처한 현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한국주물공업협동조합 자동차분과위원회는 26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개최한 긴급 대책회의에서 당초 이날 돌입할 계획이었던 파업을 4월16일로 연기했다. 이날 회의에는 자동차 주물업체 40여 곳 가운데 완성차의 2·3차 협력업체 19곳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앞서 주물업체 대표 180여명은 지난달 22일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납품단가 현실화를 촉구하면서 모기업들이 납품단가를 올려주지 않으면 3월 26일부터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주물조합 관계자는 “대기업의 납품 단가 인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적자가 불가피하며, 공장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한미FTA 개정협상 타결로 자동차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우리 측만의 요구를 고집할 순 없었다”며 파업 시기를 연기한 배경에 외부 환경도 작용했다고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일부 완성차 대기업들이 기존 입장과 달리 납품 단가 인상과 관련해 검토해보겠다고 태도 변화를 보인 점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자동차 대기업과 주물업계는 남은 기간 납품 단가 인상 여부를 놓고 치열한 줄다리기를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번 공장 가동 중단 연기에서 보듯 중소 주물업계가 대기업을 상대로 한 협상 카드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납품 단가 현실화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주물업계 관계자는 “일부 완성차 회사에서 납품 단가 인상을 검토하기 시작한 건 주물업계에 긍정적인 신호지만, 한미FTA 개정협상 타결로 자동차 업계가 어려움에 처한 점이 변수”라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