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단독]韓 강관업체 '수출쿼터 반토막'... 1.5조弗 美 인프라시장 날릴판

셰일가스 개발·건설 수요 늘어

업계 "진입 기회 원천 차단 당황"

미국 내에서 늘어난 강관 수요에 힘입어 수출량을 늘려온 강관업계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수입산 철강에 25% 관세를 추가 부과하는 미국의 제재는 피했으나 대미 수출량이 반토막 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1조5,000억달러 규모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약속해 현지 강관 수요가 급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쿼터제에 발목이 잡힌 국내 강관업계는 손 놓고 바라볼 수밖에 없게 됐다. 27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발표된 한미 간 합의에 따라 국내 강관업체의 대미 수출이 104만톤을 넘어서는 안 된다. 지난해 수출량의 51%에 불과한 수치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쿼터제는 추가 관세를 물고서라도 현지에 수출할 수 있는 저율관세할당제와 다르다”며 “쿼터를 넘어서까지 수출할 수는 없다”고 못 박았다.

관련기사



현지 셰일가스 개발 및 인프라 건설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출량을 늘려오던 국내 강관업계로서는 쓰라린 대목이다. 2년 전부터 본격화한 미국의 보복관세도 급등한 현지 수요 덕에 상쇄할 수 있었다. 실제 대미 전체 철강수출 물량은 2015년 440만톤에서 지난해 340만톤으로 줄어들었지만 같은 기간 강관은 203만톤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으로 현지 강관 수요가 급등할 것으로 예상된 터라 충격파는 훨씬 크다. 한 중견 강관업체 고위관계자는 “우리나라만 ‘독박’을 쓸 위기에서 빠져나온 것은 다행”이라면서도 “현지 강관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텐데 진입기회를 원천 차단당한 것 같아 당황스럽다”고 토로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