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성 산불 16시간 만에 잔불까지 진화…뒷불 감시체계로 전환

고성 산불 16시간 만에 잔불까지 진화…뒷불 감시체계로 전환



축구장 면적 56개(40㏊)에 해당하는 산림을 태운 고성 산불이 발생 16시간여 만에 잔불까지 진화됐다.

강원도와 고성군은 28일 오후 10시를 기해 잔불을 잡고 뒷불 감시 체계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6시 19분께 간성읍 탑동리 인근 야산에서 불이 시작된 지 16시간여 만이다.

산림 당국은 이날 오후 5시 30분께 큰 불길을 잡고 1천100여명의 야간 진화 인력을 투입해 잔불 진화작업을 벌였다.

이 불로 축구장 56배에 해당하는 40㏊의 산림이 잿더미가 됐다.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주택 5채와 사무실 2곳, 창고 10동 등 건물 17채가 소실됐다.

주택소실로 6가구 7명의 이재민도 발생했다.

자원환경사업소와 산림 양묘장, 가진공설묘원 등 공공시설 3곳도 피해를 보았다.

불이 나자 탑동리·가진리·공현진리·항목리 692가구 1천314명의 주민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 이 중 310여명의 주민은 고성 종합체육관과 생활체육관으로 긴급 대피했다.

오후 6시 현재 30여명을 제외한 대부분 주민은 귀가한 상태다.

불은 순간 풍속 초속 11.7m의 강풍을 타고 가진리, 공현진리 등 바닷가로 삽시간에 번졌다.


산림 당국은 진화헬기 40대와 3천180여명의 주간 진화인력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으나 산세가 험하고 강한 바람이 불어 어려움을 겪었다.

관련기사



소방 당국도 인근 시·도에서 진화차와 물탱크 등을 지원받아 산불이 민가로 번지는 것을 차단했다.

육군 8군단도 11개 부대 2천400여명을 현장에 투입해 진화 작전을 펼쳤다.

산림 당국은 산불 지역 4곳에 뒷불 감시 인력을 투입해 재발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산불 재발화에 대비해 진화헬기 6대를 산불 지역 인근에 배치했다.

29일 일출과 동시에 진화헬기를 재투입해 산불을 완전히 진화한다는 계획이다.

산불 원인 조사도 본격화한다.

경찰은 국과수를 비롯해 소방, 한전 등과 합동 정밀감식을 통해 산불 원인을 규명할 방침이다.

특히 불이 시작된 탑동리 채석장 인근 전선에서 발견된 단락흔(끊어진 흔적)이 이번 산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산림 당국 관계자는 “산세가 험한 데다 바람도 강하게 불어 진화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다행히 진화헬기와 인력이 대거 투입돼 집중적인 진화작업을 펼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