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한미 FTA, "위대한 합의다. 이제 중요한 안보관계에 집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한미FTA(자유무역협정)와 북미대화의 ‘연계’를 시사하고 나섰다.

양국이 이미 사실상 타결했다고 발표한 한미FTA를 북한과의 협상이 타결된 이후로 미룰 수도 있다고 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스스로 트위터를 통해 “위대한 합의다. 이제 중요한 안보관계에 집중하자”고 한 지 하루 만에 나온 ‘폭탄 발언’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언급은 북·중 관계 복원 분위기 속에서 남북정상회담 개최 일자가 4월 27일로 확정, 발표된 지 몇 시간 안 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하이오주 대중연설에서 한미FTA 개정 협상 결과에 대해 “훌륭하다”고 자평하던 중 불쑥 이런 발언을 이어갔다. 그러면서 “왜 이러는지 아느냐. 이것이 매우 강력한 카드이기 때문”이라고 했을 뿐 발언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두고 미국 언론들은 “한미FTA와 북미대화를 연계하며 협박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대북 압박 전선에서 자칫 생길 수 있는 한·미 간 균열을 막기 위해 한미FTA를 지렛대로 삼겠다는 의중을 드러냈다는 분석인 것.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협상 과정에서 한미FTA를 지렛대로 삼으려는 차원”이라고 풀이하면서 “이 발언은 남북이 정상회담 일정을 발표한 가운데 이뤄졌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의회 전문매체 더 힐은 “북한으로부터 핵 양보를 견인하기 위해 한미 간 단일한 입장 유지가 중요한 상황”이라며 “미국의 일부 관료들 사이에서는 한국이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과의 합의 도달에 치우친 나머지 ‘취약한 합의’로 귀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의 협상에서 김정은이 핵 야욕을 포기하도록 하는 데 있어 한국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AP통신은 “복잡하고도 정치적 논쟁 소지가 있는 FTA 개정 이슈가 자칫 미국이 위험부담이 큰 평양과의 협상을 진행하는 데 있어 대북 한미 공조 전선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해석을 제시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백악관 관계자들도 예상치 못한 ‘돌출발언’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백악관과 미 무역대표부(USTR)가 즉각적 반응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돌발적으로 불거진 발언인 만큼 특유의 과장 화법에 따른 레토릭(수사) 성격이 강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일각에서 제기됐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