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감원장에 '저승사자' 김기식...금융규제 완화 물건너 갈 듯




시민단체 출신에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지낸 김기식 더미래연구소 소장이 신임 금융감독원장에 30일 임명됐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김 전 의원을 임명 제청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바로 재가했다. 김 신임 원장은 다음달 2일 공식 취임한다. 정치인 출신 금감원장은 지난 1999년 통합 금감원 출범 이후 처음이다.

참여연대와 국회의원 시절 금융개혁 성향이 강해 ‘금융권 저승사자’로 불렸던 김 원장은 소비자 보호 강화와 금융지주 지배구조 개선 등에 적극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에서는 김 원장이 같은 참여연대 출신인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과 호흡을 맞출 것으로 예상되면서 재벌개혁을 위한 라인업이 완성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금융권은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금융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지배구조 문제와 지지부진한 금융혁신을 뚝심 있게 밀어붙일 해결사로 발탁된 것 같다. 한바탕 전쟁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2014년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설전을 벌였던 일화도 있다. 최 위원장은 당시 금감원 수석부원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김 원장은 당시 국민은행의 주전산기 교체를 놓고 촉발된 ‘KB 사태’에서 임영록 KB금융그룹 회장을 경징계했다며 제재심의위원장을 맡았던 최 수석부원장을 집중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최 수석부원장을 위증죄로 고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김 원장이 금감원장으로 부임하게 되면서 둘은 법·제도를 입안하는 금융위원장과 이를 집행하는 금감원장으로 다시 만나게 됐다.

관련기사



김 원장은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해서는 은산분리 문제를 들어 부정적인 입장이었고 산업은행의 대우조선 부실 관리 문제를 집중적으로 질타한 적도 있다. 대부업 계열 저축은행의 고리 대출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고 대부업 금리 인하 문제에 깊숙이 관여했다. 김 원장은 이건희 삼성 회장의 차명계좌에 대한 과징금·차등 과세 부과, 금융그룹 통합감독, 금융사 지배구조 개선 등 재벌 관련 금융감독 이슈에서 상당한 목소리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신용카드 수수료나 저축은행 대부업체의 대출금리 등 이슈는 소비자보호 측면에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원장은 경성고와 서울대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참여연대 정책실장·사무처장·정책위원장, 제19대 국회의원,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국회 정무위원회 민주당 간사 등을 거쳐 현재 더미래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