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는 2일 임기를 시작하며 이런 내용의 취임사를 발표했다. 이 총재는 “조직 운영에 있어 이전 4년간은 안정을 우선시했다면 앞으로 4년은 변화와 혁신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44년만에 총재 연임으로 독립성과 자율성을 인정 받은 만큼 좀 더 과감한 행보를 보이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이 총재는 변화·혁신을 위해 동질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진취적인 자세로 일할 것을 직원들에게 주문하는 한편 업무 수행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요소를 걷어내 생산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정부 정책에 있어서도 목소리와 역할을 키울 것임을 예고했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안고 있는 구조적 취약성을 해소하는 일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심도 있는 조사 연구를 통해 현실성 있는 대안을 모색해 정책당국에 부단히 제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청문회 과정에서도 규제 개혁,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 저출산고령화 해결 등 구조개혁의 시급함을 여러 번 강조했다.
이 총재는 “핀테크, 블록체인 등 신기술 발전에도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디지털 혁신은 새로운 기회와 편의를 주지만 예상지 못한 리스크를 야기할 수도 있는 만큼 금융·경제에 대한 영향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국제 논의에도 적극 참여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준금리 조정 등 통화정책에 있어서는 “완화 기조를 유지하되 실물경제나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을 신중히 판단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가계부채 증가, 자본유출 가능성 등 리스크가 현실화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뚜렷한 방향성은 제시하지 못한 셈이다. 약한 경기 회복세를 생각하면 금리를 유지해야 하고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올릴 필요가 있는 딜레마에 빠져있음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