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심리 상태를 진단한 결과 대한민국의 ‘고독지수’가 100점 중 78점에 달했다.
한국임상심리학회는 최근 학회 소속 심리학자 317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고독지수’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학회는 심리학자들에게 ‘현재 대한민국은 얼마나 고독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점수를 매기도록 했다. 이에 대한 심리학자들의 평균 점수가 78점이었다.
응답자들은 한국 사회의 고독감이 증가한 원인으로 개인주의의 심화(62.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사회 계층간 대립 심화(54.6%), 장기화된 경제 불황(48.3%), 사회적 가치관의 혼란(45.4%), 온라인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변화(36.3%)가 뒤를 이었다. 고독감으로 발생하는 문제로는 우울증, 자살, 고독사, 일 중독, 악성댓글, 혐오범죄 등이 꼽혔다.
심리학자들은 ‘고독함이 정신적 문제 및 사회문제와 어느 정도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평균 83점으로 응답했다. 한국 사회가 겪는 다양한 문제가 고독감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서수연 성신여자대학교 교수는 “무한 경쟁과 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히 감소한 대인관계의 상호작용 때문에 타인에 대한 배려보다는 나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생겼다”면서 이런 추세로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서 교수는 “인간은 고독감을 더 많이 느낄수록 우울 혹은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고, 이를 적절히 해소하지 못할 경우 정신적 문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독감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가 정책적 대응 방안 마련이 61.8%로 가장 많이 거론됐고 봉사활동 등 이타성, 사회성 프로그램 장려가 55.5%로 뒤를 이었다. 제도적인 노력과 개인의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타주의의 강조가 고독감 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에 대한 물음에는 평균 67점으로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조선미 한국임상심리학회 부회장은 “사회 구조적 문제로 국민이 느끼는 고독감을 경감시키기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의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기에 개인의 크고 작은 이타주의 실천이 더해지고 사회적 연대가 형성될 때 대한민국이 고독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