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폐지 줍는 노인 절반은 월 10만원도 못 번다

서울시, 폐지수집 노인 지원 대책 마련

서울시가 시내 자치구 24곳에서 활동하는 폐지수집 노인 대상의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고 10일 밝혔다./연합뉴스서울시가 시내 자치구 24곳에서 활동하는 폐지수집 노인 대상의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고 10일 밝혔다./연합뉴스



서울 시내 폐지수집 노인 가운데 절반 이상은 월 10만원도 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시내 자치구 24곳에서 활동하는 65세 이상 폐지수집 노인 2,417명에 대해 실태 조사한 결과 월 10만원 미만으로 돈을 번다는 응답자가 51.9%에 달했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최근 폐지 가격이 하락해 이를 모아 버는 수입마저 줄어들어 식비와 의료비 등 필수 비용마저 충족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돌봄 방안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폐지수집 노인 가운데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은 35%로 나타났다. 나이로 보면 76세 이상이 4분의 3에 가까운 74.5%로 집계됐다. 폐지수집 노인 가운데 절반은 1인 가구였고, 경제적인 이유로 폐지를 줍는다는 사람이 82.3%나 됐다. 시는 “폐지수집 노인은 거동이 불편해도 새벽에 돌아다니거나 인도가 아니라 차도로 다니는 등 교통안전에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에 따라 생계, 일자리, 돌봄, 안전 등 4개 부문에 걸친 ‘폐지수집 어르신 지원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시는 우선 소득 재산 조회와 사례 회의를 거쳐 1인 가구 기준 30만원, 의료비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 또 853명을 선정해 월 5만∼7만5,000원의 임대료를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노인에게는 공공일자리 등 다른 일자리를 찾아준다. 시는 하루 2∼3시간 일해 27만원을 받을 수 있는 취약계층 말벗 활동, 공공시설 봉사 활동, 제품 포장 등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또 폐지수집과 관련된 일자리를 만들어 월 최대 22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이 밖에도 폐지수집 노인에 대해 주 3회 이상 안부를 확인하고 심리 상담을 펼쳐 정서적 안정을 돕는다. 또 이들을 대상으로 교통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야광 조끼, 야광 밴드, 방진 마스크, 손수레 등을 지원해 안전하게 돌아다닐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