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하루 10시간 넘게 일해요”...고단한 이통 유통점 직원들

응답자 78.9% “주 6일 이상 근무”

식사시간 보장도 못 받는 등 ‘열악’




이동통신 유통점에 근무하는 직원 10명 중 6명은 하루에 10시간 넘게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명 중 8명은 주 6일 이상 근무해 ‘주5일 근무제’ 울타리 밖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한국모바일정책연구소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이동통신 유통 종사자(대리점 및 판매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20일까지 전화 설문조사를 진행해 얻은 결과다.


결과를 보면 하루 8시간 근무를 한다는 종사자는 15.6%에 불과했다. 근무시간이 10시간이라고 답한 직원 비중이 38.7%로 가장 많았고, 11시간은 17.0%, 11시간 초과는 6.1%였다. 9시간 근무자는 22.6%로 집계됐다.

주간 평균 휴무일은 주 2일 미만이 78.9%로 나타났다. 휴무가 ‘없다’는 응답도 5.7%였으며 격주로 쉰다는 답변은 7.4%로 조사됐다.


근무 중 점심과 저녁 식사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응답자 비중은 28.3%였다. 매장 영업 마감 시간은 오후 8시 이후가 84.5%에 달했다. 이는 이동통신 시장의 전산 마감이 오후 10시(번호이동 오후 8시)인 점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해 평일 전산영업 시간 단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50.2%로 응답자의 절반을 넘어섰다. 필요하지 않다고 답한 비중은 32.2%로 나타났다.

전산영업 마감 시간을 조정할 경우 합리적인 시간대로는 오후 7시(45.3%) 가장 많이 꼽혔다. 오후 7시 이전에 마감해야 한다는 의견 비중도 22.3%였다.

이번 조사는 오는 7월 300인 이상 사업장의 주 52시간 근로시간 제도 시행을 앞두고 이동통신 유통업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이뤄졌다. 대기업에 속하는 이동통신 3사는 이미 주 52시간 근로시간 제도를 도입했지만 영업 현장인 유통점에서는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박희정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연구실장은 “많은 종사자는 주 52시간 근무를 원하지만 이에 따른 실적과 소득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고 짚었다. 박 실장은 이어 “근로시간 단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산영업 마감 시간을 당기는 것”이라면서 “이러한 조처를 할 때 유통점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보상 방안 마련에 이동통신 3사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