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공부만 했는데 남는 건 명함 하나뿐"…20대, 부동산 책을 펴다

토익보다 부동산 출간

취업 6수 기자의

부동산 입문기

20대여 부동산을 두드려라

신간 ‘토익보다 부동산’ /사진제공=아템포신간 ‘토익보다 부동산’ /사진제공=아템포



‘20대에게 부동산은 왜 내 것이 아니어야 하는가’

10대 때는 대입에, 20대는 취업에 매달렸다. 대학 졸업 후 어영부영하다가 대학원에도 진학했다. 토익과 각종 자격 증 등 스펙 쌓기에 전념했다. 하지만 서른이 됐을 때는 직장에서 파준 명함 외에 남는 게 없었다. 여전히 고시원과 옥탑방을 전전했다. 이는 ‘토익보다 부동산’의 저자 이승주씨의 이야기다. 동시에 평범한 우리들의 이야기와 닮아있다.

언론사란 사회부와 정치부만 있는 곳인 줄 알았던 저자는 입사 후 건설부동산부에 배치받는다. 직접 해본 계약이라고는 원룸 전·월세 계약뿐이었고 몇 곳 떠오르지 않는 건설사 이름이 머릿속에 들어있는 전부였을 때였다. 취재를 해야 했지만 부동산 시장에서 사회초년생은 발 붙일 곳이 없었다. 부동산시장의 정보는 40∼50대 투자자를 중심으로 돌아갔다.


“원룸이란 우물에서 나와 비로소 부동산 시장으로 시야를 넓히면서 깨달은 건 우리 세대야말로 부동산 공부가 필요한 세대라는 거였어요”

관련기사



‘토익보다 부동산’의 저자 이승주 기자 /사진제공=이승주‘토익보다 부동산’의 저자 이승주 기자 /사진제공=이승주


‘토익보다 부동산’은 부동산 매물 한 번 들여다 본 적이 없었던 사회 초년생이 매번 부동산에서 쫓겨나고 전문가들에게 혼나가면서 배워온 생생한 경험을 보여준다. 당장 실질적인 부동산 투자 방법론을 기대하는 독자들에게는 변죽을 두드리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저자는 ‘왜 20대가 부동산을 공부해야 하는지’, ‘그렇지 않은 30대에게 남는 게 왜 없는지’를 차근차근 설명한다. 피부에 와 닿는 에피소드는 저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다.

저자는 말한다. “우리는 입시와 취업을 위해 진짜 공부가 아닌 ‘보여주기식’ 공부에 청춘을 쏟아부었다. 정작 자산을 모으고 삶의 터전을 마련하는 등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하지 못한 채 말이다”

조금이라도 마음이 동했다면 오늘은 서점에 들러 토익책이나 시사상식책 대신 이 책을 사보는 걸 권한다. 1만3,500원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