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기업 10곳 중 7곳, "근로시간 단축으로 고용 증가 안해"

사람인, 기업 559개사 설문조사

51%, "52시간 근로로 인건비 상승"

지난 2월 28일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법정 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통과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2월 28일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법정 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통과되고 있다/ 연합뉴스



근로시간 단축이 신규 채용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고 경영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이 일자리 나누기로 이어질 거란 정부의 기대가 오히려 현장에선 구인난으로 귀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구인·구직 플랫폼인 사람인이 기업 559개를 대상으로 ‘근로시간 52시간 단축에 따른 영향’을 설문조사한 결과 근로시간 단축이 신규 채용 증가로 이어질 거라고 답변한 비율은 전체의 29.3%에 불과했다. 답변자의 49.0%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고, 오히려 채용이 줄어들 것이란 응답도 전체의 21.6%였다.


또한 전체의 64.0%가 “경영과 생산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하면서 근로시간 단축이 경영환경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영향을 받는 경영 항목 중엔 ‘인건비 상승’이 51.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생산량 저하(26.0%) 근로자간 형평성 문제 발생(25.1%), 서비스 운영시간 차질(20.4%) 직원 업무 효율성 저하(17.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다는 기업 중 95.3%는 이미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응방안으로는 ‘불필요한 업무 감축’(48.6%), 집중 근무시간 운영(34.1%), 인력 추가 채용(26.3%), 유연근무제 실시(26.0%), 회의·업무보고 간소화(16.2%) 순이었다.

조사대상 기업의 61.5%는 이른바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정시 퇴근제를 시행하고 있는 업체가 53.5%에 달했고, 유연근무제(20.3%)와 조기 퇴근제(15.4%) 등이 그 다음이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