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남북정상회담]모건스탠리 “남북평화 큰 진전시, 韓주가 최고 15%상승”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전 서울 을지로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2,500선을 넘은 코스피 지수가 나타나고 있다./연합뉴스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전 서울 을지로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2,500선을 넘은 코스피 지수가 나타나고 있다./연합뉴스



남북정상회담으로 남북 관계가 완화되면 한국 증시가 단기간에 최고 15% 상승할 수도 있다는 글로벌 투자은행(IB)의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27일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모건스탠리 한국지사의 보고서를 인용해 “남북 긴장이 완화되면 독일의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을 때와 같은 경제적 파급효과가 나타나 아시아 경제와 시장이 큰 수혜를 볼 것”이라고 보도했다.


모건스탠리는 정상회담 이후 현실화될 수 있는 시나리오로 ‘해빙’(Breaking the ice), ‘적극적 교류’(Becoming more engaged)‘, ’완전한 통합‘(Full Union), ’불안한 균형 유지‘(Uneasy equilibrium remains) 등 4가지를 꼽았다.

남북한 간 관계가 개선되고 일부 경제 협력이 재현되는 ’해빙‘의 경우 개선된 관계 덕에 서방의 개입이 수반될 수 있는 남북한 간 분쟁이 발발할 가능성이 훨씬 작아지기 때문에 코스피 지수가 최고 8%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상회담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와 남북한 관계가 대폭 개선되지는 않지만 북한이 무역과 이동을 자유화하는 ‘적극적 교류’나 남북한이 경제, 정책적으로 통합하는 ’완전한 통합‘ 시나리오가 실현되면 코스피가 10∼15%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모건스탠리는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을 때 시장은 잠재적인 통일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엄청나게 흥분한 상태로 경제 전망을 낙관했다”며 “당시 증시는 두 달이나 랠리를 이어갔고 독일의 DAX지수는 이 기간 28%나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급등은 결국 과도한 반응으로 드러났고 독일 증시는 곧 급락하게 됐다며 이런 전개는 우리나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모건스탠리는 덧붙였다.

외환시장과 관련, 모건스탠리는 ’해빙‘의 경우 원화 가치가 이전 남북 정상회담 때 달러화에 대해 최고 3% 절상된 것과 비슷한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며 금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채 완만하게 절상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적극적 교류‘의 경우 통일 관련 비용 부담이 없어지고 한국 원화에서 리스크 프리미엄이 배제될 것이라며 “원화 환율이 1,020원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모건스탠리는 ’완전한 통합‘의 경우 원화에 고통스러울 것이라며 통일이 한국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30% 낮출 것으로 관측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