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낡은 관행' 전면 수술 예고한 김광수 NH농협금융 회장

은행-비은행 부문 균형 맞춰

수익성 높여 농업인 지원 집중

30일 서울 서대문구 농협 본관 중회의실에서 열린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취임식에서 김 신임 회장이 취임 포부를 밝히고 있다. /사진제공=NH농협금융30일 서울 서대문구 농협 본관 중회의실에서 열린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취임식에서 김 신임 회장이 취임 포부를 밝히고 있다. /사진제공=NH농협금융



“안정적 수익을 내고 스마트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낡은 업무 관행이 있다면 전면적으로 혁신하겠습니다.”


김광수 신임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은 30일 열린 취임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신임 회장은 “농협금융의 사업·자산 포트폴리오는 다른 어떤 금융지주보다 균형 있게 분산돼 있지만 부문별로는 자산과 수익이 매칭되지 않고 수익의 변동성도 큰 편”이라며 안정적 수익을 내는 데 집중하겠다고 했다. 그는 “다른 금융지주에 비해서 이익 규모뿐 아니라 총자산이익률(ROA),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수익성 지표가 낮다”며 “은행과 비은행 부문에서 균형을 맞춰 농협금융지주를 누구보다 ‘잘생긴’ 금융그룹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가장 높이, 가장 멀리 나는 새로 알려진 ‘신천옹(앨버트로스)’을 언급했다. 그는 “앨버트로스의 진가는 거센 바람이 몰아칠 때 나타나는데 바람의 방향과 강도를 파악하고 자신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인 큰 날개와 튼튼한 근육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에 이런 비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큰 날개와 튼튼한 근육을 갖춘 농협금융에 자신이 바람의 방향과 강도를 파악하는 앨버트로스의 ‘눈’이 되겠다는 비장함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김 회장은 이어 “농협금융은 농업인의 풍요로운 미래를 위해 존재한다”며 ‘농업인 지원’이라는 공적 기능 수행을 위해 안정적 수익을 내는 데 집중하겠다고 역설했다. 그는 또 “세부적으로 점검해 스마트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낡은 업무 관행이 있다면 전면적으로 혁신하겠다”며 대대적인 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낡은 업무 관행 혁신도 예고했다. 김 회장은 ‘일하는 사람은 집을 그릴 때 주춧돌부터 그린다’는 고(故) 신영복 선생의 글귀를 인용하면서 “현장과 유리된 탁상공론을 경계하며 무슨 일을 하든 실제 현장과 경험이 기본이 돼야 한다”고 현장경영 의욕을 강하게 내비쳤다. 동시에 “오랜만의 현업 복귀라 감개무량하다. 책임감이 무겁다”며 한껏 몸을 낮췄다. ‘모피아 적자’로 불렸던 그가 5년간의 공백을 딛고 화려하게 복귀하자 금융권 전체가 주목하고 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