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文, ‘주한미군 논란’ 문정인에 이례적 경고…한미균열 여지 차단

“대통령 입장과 혼선 빚지 않았으면”

비핵화 프로세스에 악영향 우려

주한미군 철수 관련 논란을 일으킨 문정인 외교안보특보를 향해 문재인 대통령이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연합뉴스주한미군 철수 관련 논란을 일으킨 문정인 외교안보특보를 향해 문재인 대통령이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연합뉴스



주한미군 철수를 언급했다는 논란을 일으킨 문정인 외교안보특보를 향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비핵화 합의에 전력을 기울이는 중대 국면에서 문 특보의 발언이 주변국에 혼란을 일으키면서 전체 판을 어지럽힐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직접 상황을 정리하고 나선 것이다.

문 특보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어페어스’에 기고한 글에서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 주둔을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문 대통령은 2일 “주한미군은 한미 동맹의 문제로, 평화협정 체결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문 특보에게 전화를 걸어 이러한 문 대통령의 입장을 전하면서 “대통령의 입장과 혼선이 빚어지지 않게 해달라”고 말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이 문 특보에게 이렇듯 ‘경고’ 카드를 쓴 것은 현 국면이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로 이어가 비핵화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지 기로에 선,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취임 후 가장 긴 시간인 1시간 15분 동안 통화하며 김 위원장과의 회담 성과를 설명하고 향후 비핵화 로드맵을 논의하는 등 긴밀히 소통해왔다. 강력한 한미 동맹을 통해 북미 정상 간 담판을 앞둔 단계에까지 상황을 끌어온 문 대통령으로서는 문 특보의 기고문이 단순히 한미 관계뿐만 아니라 비핵화 프로세스에까지 악영향을 줄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지난해 싱가포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전시작전권을 행사해도 한미 연합방위능력을 유지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며 “주한미군은 대북 억지력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동북아 전체의 평화를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남북정상회담 당시 양 정상 간에 주한미군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고 전했다. 청와대의 공식 입장과도 반대되고 비핵화 협상에서도 거론되지 않은 문제를 굳이 꺼냄으로써 혼란을 야기한 문 특보에게 문 대통령도 이번만큼은 단호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불필요한 혼선이 빚어지지 않았으면 하는 게 저희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문 특보가 개인적인 소신을 밝혀 논란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문 특보는 지난해 6월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와 한미연합훈련을 축소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당시 청와대는 해당 발언이 한미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뜻을 전달했으나, 문 대통령은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