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정보

[서울경제TV ‘해외선물 신세계’] AG시스템 “한 눈에 보는 경제”

[서울경제TV ‘해외선물 신세계’] AG시스템 “한 눈에 보는 경제”




[AG시스템] 2018.05.02 데일리 시황


[국내시황]



정부, 미-북 관계 정상화 이후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북한 투자를 유도하고 북한의 IMF 가입을 측면 지원 계획.

트럼프 행정부,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면제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을 필두로 한 미국 경제o통상 사절단, 3일 중국 방문해 무역회담 예정.

애널리스트 추정치가 있는 기업 53곳의 1분기 영업이익은 전체 32조9706억. 예상치 상회로 실적 추정치 재조정.

유가증권시장 298개 기업의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 217조2847억 원. 철강, 건설, 반도체, 은행주에서 상승세 기대.

수급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은행주 중에서 우리은행o하나금융지주 등 ‘저평가o우량주’로 부각

GS건설 대림산업 삼성물산 대우건설로 이어지는 건설업종 ‘4총사’, 올해 1분기에 1조원 이상의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실제 합산 이익, 1조260억 원)

코스피, 2500선을 돌파. 코스닥지수, 제약o바이오주 약세에 다시 870대로 하락(875.95)

IT실적주로 자금 이동되며 전반적으로 코스닥지수 조정.

금감원, 분식회계 의혹을 받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회계처리 오류 잠정 결론, 징계 절차 착수.

남북 경협 활성화 기대에 사회간접자본(SOC) 관련주들(현대로템-대아티아이 등) 동반 급등.

남북 관계 호재로 당분간 원화 강세 국면 전망. 내수주 펀드 관심 증폭. 수출주 펀드 난항 예상.

코스닥 벤처펀드, 거액 자산가의 배만 불리는 ‘부자펀드’로 변질 지적. ‘코스닥 벤처펀드’ 간담회 열고 대책 마련.

플라즈마 세정기를 만드는 뉴파워프라즈마, 소셜카지노게임 개발사인 더블유게임즈, ‘코스닥 라이징스타’로 선정.

반도체 호조 등으로 자산 5조 원 이상인 대기업 집단의 당기순이익이 2배 가까이 급증. 대기업 간 양극화 심화.

공정거래위원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삼성과 롯데그룹의 동일인(총수)으로 지정

[해외시황]



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6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2.0% 반영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 전 거래일보다 2.82% 하락한 15.48을 기록

뉴욕증시 주요지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대한 경계와 ‘대장주’ 애플의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 속에서 혼조세. (다우,-0.27%)

시장, FOMC에서 드러날 연준의 경기 및 물가에 대한 견해와 이에 따른 금리 움직임에 주목.


미국, 전일 유럽연합(EU) 등에 대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 관세 유예 조치를 다음 달 1일까지 연장

관련기사



달러인덱스, 연준과 여타의 주요 중앙은행 간 통화정책 차별화 지속 전망에 유로화 및 엔화 대비 강세

월가, 애플이 대규모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지급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월 59.3 -> 57.3으로 하락.

4월 미 제조업 PMI 확정치, 전월의 55.6 -> 56.5로 상승.

국제유가, 미국 달러화 강세와 산유량 증가 전망 등으로 하락. 6월 물 WTI, -1.93% 하락.

<미국>



*핵심이슈

로스 상무장관, 중국과 무역협상 결렬 시 관세 부과.

백악관,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면제국은 수입 할당제 시행 예정.

피셔 전 Fed 부의장, 물가상승 압력 우려 불필요.

*이슈분석

5월 FOMC, 물가상승에 따른 통화정책 경로 변경 여부가 주 관심사.

미국 정부의 규제완화, 금융권 안정성 약화 우려.

외국인 투자자의 국체 입찰 2011년 이후 최저 수준. 미국 금리 상승과 성장 둔화 초래

수익률곡선을 통한 경기판단, 과거에 비해 효용성 감소.

국제유가 상승세, 수요 우위 여건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지속 전망.

< 유럽 >



* 핵심이슈

유럽위원회, 미국의 수입관세로부터 완전 면제 강조.

영국, 3월 소비자 대출규모 증가세 시장예상보다 부진.

*이슈분석

PIMCO CEO, 은행의 부실자산 매각과 소비자신용 기회 제공하는 유럽에서 투자기회 언급.

유로화 강세, EU 수출기업에 타격. 연내 추세 전환 가능성 상존.

* 본 기사는 전문가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도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