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금요일 美증시] 버핏 효과에 애플 급등 속 강세

다우 1.39% 상승...나스닥도 1.71% 올라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4일(현지시간)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의 주식 추가 매입 소식 속에 상승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332.36포인트(1.39%) 상승한 24,262.5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3.69포인트(1.28%) 오른 2,663.42,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21.47포인트(1.71%) 상승한 7,209.62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4월 고용지표와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결과, 애플 주가의 급등 등을 주시했다.

뉴욕증권거래소 로고뉴욕증권거래소 로고



이날 주요 지수는 미국의 4월 비농업 신규 고용 결과가 시장 예상치에 미치지 못한 데 따라 하락세로 출발했다. 미국 4월 실업률이 2000년 이후 처음으로 3.9%까지 떨어졌지만, 경제활동 참가 인구가 줄어든 영향이란 분석이 나온 데다 임금 증가율도 예상보다 부진했다.


주요 지수는 하지만 애플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급등하면서 상승세로 가파르게 전환됐다. 버핏 회장은 전일 1분기에 버크셔 헤서웨이가 애플 주식을 7,500만 주 추가 매입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또 “애플 주식 장기투자자는 아이폰 단기 판매량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면서 “애플은 다른 회사와 격차를 대폭 늘린 놀라운 기업”이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이에 따라 애플 주가는 이날 184.25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장 초반 실망감을 줬던 고용지표도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빠른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를 누그러뜨리며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임금 상승이 억제되면서 물가 상승 우려가 줄어든 반면 실업률이 낮아지는 것이 증시에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 제기된 때문이다.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시장의 예상에 못 미친 4월 고용에 대해 “긍정적이고 건강하다”고 평가하면서 “향후 수년간 경기 전망은 매우 양호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제개편이 기업들의 투자를 촉진하지 못하는 게 놀라운 일”이라며 “단기적으로 경기 하강을 예상할 이유가 없다”고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6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100% 반영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