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이창동 '버닝' 칸의 가슴에 불 지피나

칸 영화제 8일 개막

이창동 감독 8년만의 신작

황금종려상 경쟁 부문 진출

보편적 소재에 주제의식 명확

8년만의 韓감독 수상 기대

영화 ‘버닝’에서 주인공 종수 역을 연기한 배우 유아인.



전 세계가 주목하는 영화 축제인 칸국제영화제가 8일 개막한다. 올해로 71회째를 맞는 칸영화제는 거장과 신예를 아우르는 최고의 화제작들이 총집결해 오는 19일까지 전 세계 영화계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특히 우리에게 눈길이 가는 작품은 경쟁부문에 오른 이창동 감독의 ‘버닝’. 이창동이 8년만에 선보인 신작 ‘버닝’은 과연 칸의 황금종려상 거머쥘 수 있을까. 이 감독의 ‘버닝’은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 장 뤽 고다르, 스파이크 리, 지아장커 등 만만치 않은 거장들과 최고 영예인 황금종려상을 두고 경쟁한다.

지난 2010년 이 감독이 영화 ‘시’로 칸영화제 각본상을 받은 이후 한국감독의 수상이 없는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수상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제작진이 꼽는 ‘버닝’의 강점은 보편적 소재와 주제의식이다. 이 감독은 “지금의 젊은이들은 부모 세대 보다 더 못살고 힘들어지는 최초의 세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희망이 보이지 않는 세상을 마주하고 있는 요즘 젊은이들의 무력감이나 내재된 분노를 일상으로, 미스터리로 마주하는 영화를 만들어보면 관객에게 새롭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전도연에게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안겨준 이창동 감독인 만큼 출연배우들의 연기상 수상 가능성도 점쳐진다. 칸 영화제 공식상영을 앞두고 지난 4일 서울 용산 CGV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유아인은 이번 영화가 “강박에서 벗어나는 과정이었다”고 소개했다. 그는 “어린 나이에 데뷔해 비교적 많은 작품을 소화하다 보니 표현에 대한 강박감이 있었고, 너무 외형적으로 보여주려는 측면이 있었다”며 “감독님의 디렉션대로 느낌 위주로 사실적으로 연기하되, 해석을 크게 열어두는 연기를 해내려고 노력했다”고 털어놨다. 이 자리에 함께 참석한 이 감독과 스티븐 연·전종서 등 주연 배우들은 ‘버닝’을 ‘젊은이에 대한 영화, 젊은이의 감각으로 소통하는 영화’ ‘머리 보다는 감각 또는 정서가 우선되는 영화’ ‘진실에 가까운 영화’ ‘영화의 모든 요소가 자기 존재를 주장하며 살아있는 영화’라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영화 ‘버닝’에서 주인공 종수 역을 연기한 배우 유아인.영화 ‘버닝’에서 주인공 종수 역을 연기한 배우 유아인.


영화 ‘버닝’에서 해미 역을 맡은 배우 전종서.영화 ‘버닝’에서 해미 역을 맡은 배우 전종서.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 ‘헛간을 태우다’를 원작으로 한다. 제목 역시 원작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이 감독은 소설의 모티브와 소재, 분위기를 살리되 소설 속 메타포를 감각의 언어로 이미지화하는데 주력했다. 이 감독 스스로 이번 작업이 ‘새로운 영화를 만들어보는 실험’이었다고 평가하는 이유다. 이 감독은 “젊음에 대한 이야기를 찍어보기로 결심하면서 어떤 목표를 정해 통제하고 지배하기 보다는 영화의 모든 존재가 자기주장을 펼치며 참여하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며 “소설 속 헛간 대신 영화에서 등장하는 비닐하우스, 고양이, 젖소, 포르셰, 태극기, 새, 남산타워 등 영화 속 작은 요소들이 이미지로서 질문을 던지고 관객은 수수께끼를 받아들이는 새로운 방식의 영화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우들 역시 이 감독의 실험적 제작 방식에 힘을 실었다. ‘종수’ 역을 맡은 유아인은 “각본 자체가 한 편의 소설처럼 구체적이고, 인물의 감정이나 대사가 아주 상세하게 묘사돼 있어 인상깊었다”며 “원작에서 어떤 요소나 모티브가 되는 지점을 가져온 것 외에는 한국적인 배경과 정서, 뿌리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었고 메타포가 있는 시나리오였다”고 소개했다. 벤 역의 스티븐 연 역시 “이 감독 나름의 세계를 펼쳐가면서도 원작의 강렬한 느낌을 온전히 표현했다는 점에서 놀라웠다고 말하고 싶다”며 “단편의 에센스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컬러를 입은 독특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17일 국내 개봉.
, 사진제공=CGV아트하우스

서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