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남북경협 준비 태세… 분주한 재계

“외교무대서 남북 공동 참여하는 행사 개최해야”

경제통합시 年성장률 0.81%p↑·12만 일자리 창출

대한상의 싱크탱크 출범… 남북교류 첨병 자처

남북경협 준비 돌입… 북·미 정상회담 관건






[앵커]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과 북의 경제협력 교류의 청신호가 켜지자, 재계가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남북경협의 본격적인 추진에 앞서 남북경협 관련 조직을 개편하고 토론회를 여는 등 준비 태세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김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재계가 남북 교류 준비에 한창입니다.

남북 경협 관련 조직을 개편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등 발빠른 행보에 나섰습니다.

전경련은 한반도 신경제지도 실현을 통한 남북경협 사업 활성화를 통해 기업의 활로를 모색하겠다며 토론의 장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허창수 / 전경련 회장

“최근 남북간 대화 모드가 조성되고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경제교류가 정상화되고 이에 따라 산업구조가 미래지향적으로 개편된다면 높은 실질 성장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남북정상회담이 남북의 경제 성장을 이끌어 내는 첫걸음이 되도록 경제계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우선, 전경련은 선결 과제로 국제 사회의 신뢰를 꼽았습니다.


이를 위해 다보스포럼 등 외교무대에서 남북이 공동 참여하는 행사를 개최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관련기사



남북 경제통합이 이뤄지면 향후 5년간 국내총생산(GDP)은 연평균 0.81%포인트씩 추가 성장하고, 12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했습니다.

또, 전경련은 개점휴업 상태였던 통일경제위원회도 부활시킬 계획입니다.

지난 박근혜 정부 당시 만들어진 통일경제위원회는 남북관계 경색으로 사실상 유명무실한 상태인데, 이를 부활시켜 세부적인 경협 실천계획을 짜고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겠다는 겁니다.

대한상의 역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민간 상공인 교류의 첨병 역할을 자처하며 남북경협 싱크탱크를 출범시킬 방침입니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주 금요일 싱크탱크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을 발표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처럼 재계가 경협 밑그림을 그리며 분주하지만, 당장 눈앞에 놓인 북미 정상회담이 관건입니다.

아직은 유엔의 대북제재로 발이 묶여 있는 만큼, 북미 정상회담 이후 비핵화와 관련된 보다 진전된 선언이 나와야 북한이라는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 소혜영/영상취재 이창훈]

김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