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강남서 내집 장만하려면 한 푼도 안 쓰고 20년 모아야

주거실태조사

연소득대비 주택구입가격 서울 평균 8.8배

서초구 20배·강남구 18배·용산구 13배 달해

8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발표한 ‘2017년도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연 소득 대비 9배 가까이 높았다./연합뉴스8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발표한 ‘2017년도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연 소득 대비 9배 가까이 높았다./연합뉴스



서울에서 내 집 장만을 하려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9년 가까이 돈을 모아야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8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발표한 ‘2017년도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토부와 서울시 표본 총 1만6,169가구를 조사·분석한 결과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가 중위수 기준 8.8배였다. 이는 서울 집값이 연 소득 대비 9배 가까이 높다는 뜻이다. 서울에서도 특히 서초, 강남, 용산구의 연 소득 대비 집값이 높았다. 서초구의 PIR는 20.8배, 강남구는 18.3배, 용산구는 13.1배였다. 서초구에서 집 한 채를 사기 위해서는 21년 가까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고스란히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에 사는 전체 가구의 71.3%는 임대료나 대출 상환금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을 느낀다는 응답 비율은 전·월세를 사는 임차가구(83.3%)가 자가 가구(71.3%)보다 높았다.

관련기사



서울에 사는 세입자 가구의 월 소득에서 월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은 12.7%(중위수 기준)였다. 세입자 24%(48만 가구)는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과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25%를 넘거나 임대료와 관리비를 포함한 비용이 30% 이상을 차지한다면 주거비 부담이 과한 수준으로 본다.

본인이 소유한 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점유 비율은 42.9%로 1년 새 0.9%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의 자가 점유 비율은 전국 평균(57.7%)보다는 낮은 편이다. 서울 내에선 도봉구(60.2%), 노원구(51.1%), 양천구(50.5%)의 자가 점유율이 높았다.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인 청년 가구의 자가 점유율은 19.1%였다.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 비중은 서울이 47.9%로, 전국 평균(60.4%)보다 낮았다. 월세가구 비중은 청년 가구, 1인 가구, 평균소득 70% 이하 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서울에서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율은 76.8%로 전국 평균(82.8%)보다 다소 낮았다. 특히 청년 가구는 68.3%가 주택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해 전체 평균보다 주택 보유 필요성을 낮게 평가했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조사 결과를 ‘2025 서울시 주거종합계획’에 반영해 임대주택 확충, 주거 안정 보장, 맞춤형 주거 지원 등을 하겠다”고 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