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피자 주문·미용실 예약도 척척...더 똑똑해진 '구글 AI'

구글 2018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스마트폰 중독 예방 운영체제도 공개

인공지능(AI) 플랫폼이 미용실로 직접 전화해 “언제쯤 가면 기다리는 줄이 짧아지느냐”고 묻고 예약한다. 전화로 피자 배달까지 시킨다. 심지어 이전에 주문했던 피자나 커피 종류를 기억했다가 다음에 시킬 때 같은 것을 주문할지 묻는다. 만화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이 모습이 현실에 등장했다.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구글이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의 쇼라인 앰피시어터에서 개최된 2018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I/O)에서 더 영리하고 이전보다 더욱 지속적인 대화가 가능한 AI 음성비서 기능을 선보였다고 보도했다. 구글의 AI 비서 플랫폼 ‘구글 어시스턴트’가 사람을 대신하는 일상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단계 진화한 것이다. ‘구글 듀플렉스’로 불리는 더 똑똑한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덕분으로 이 기능은 올여름 모든 안드로이드폰에, 겨울에는 아이폰에 시범 운영될 것이라고 구글 측은 밝혔다. 이를 위해 구글은 스타벅스와 도미노피자, 파네라 등 커피숍, 식당체인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음료나 음식 주문을 위한 어시스턴트 기능을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구글이 선보인 AI 컴퓨팅 기술의 진화는 소프트웨어가 사진 속 객체를 인식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에서 이례적인 변칙을 찾아내는가 하면, 신속하게 언어를 번역하는 등 더 많은 서비스에 AI를 추가하려는 구글의 노력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더버지는 전했다.

구글은 ‘디지털 웰빙’에 초점을 맞춘 ‘안드로이드 P’도 선보였다. 올해 말 출시 예정인 안드로이드 P는 휴대폰의 모든 앱을 언제,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했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시각적 데이터로 보여주는 대시보드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제품 관리 담당 부사장인 사미르 사마트는 “모든 안드로이드폰과 구글홈에 적용되는 구글 AI 비서 플랫폼의 진화는 애플 시리와 삼성의 빅스비보이스 등 AI 음성비서 시장에서 벌어지는 치열한 경쟁의 산물로 AI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