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이영자 '전지적 참견 시점' 녹화 불참, 세월호 모욕 분노 점점 커져




이영자의 먹방으로 인기 급상승하던 ‘전지적 참견 시점’이 존폐 위기에 몰렸다.

9일 세월호 참사 뉴스특보 화면을 어묵 먹방에 사용해 일베논란이 번진 후 MBC는 두 차례 사과했으나 여론은 잠잠해지지 않았다. 최승호 MBC 사장까지 나서 사과와 관련자 처벌을 약속했으나 결국 이영자가 녹화에 불참하면서 파장이 번지고 있다.


‘전지적 참견 시점’ 제작진은 지난 5일 방송에서 이영자가 어묵을 맛있게 먹는 장면을 뉴스 형태로 편집하면서 배경에 세월호 참사 당시 뉴스 화면을 사용했다.

이는 인터넷 극우 성향 커뮤니티인 일간베스트에서 과거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어묵’이라고 모욕한 사건을 떠올리게 해 공분이 커지고 있다. MBC는 과거에도 일베 자료들을 화면에 사용한 적 있는 만큼 재발했다는 점에서 대중의 비판이 크다.


비난이 거세자 제작진은 9일 공식입장을 통해 “편집 후반작업에서 인지하지 못하고 사용했다”며 관련 영상 삭제와 진상조사를 벌이겠다고 했다. 그럼에도 비판이 쏟아지자 MBC는 재차 사과문을 내고 “긴급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이번 사안을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최승호 MBC 사장은 직접 SNS에 글을 올려 “관련자의 책임을 묻고 유사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며 “MBC는 지난해 12월 정상화 이후 세월호 참사에 대한 과거 왜곡 보도를 반성하고 세월호 참사 유가족께 사과드린 바 있다. 그런데 다시 이런 사건이 발생해 매우 죄송스럽고 참담하다”고 사과했다.‘

방송국 사장까지 나서서 사과했으나 대중의 분노는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흥행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던 이영자는 녹화에 참석하지 않겠다는 뜻을 제작진에 전했다. 이영자 측은 “이영자 씨가 현장에서 방송분을 볼 때는 해당 내용이 없었는데 후반 편집 후 생겼다”며 “본인이 이번 사태에 굉장히 놀라 일단 다음 녹화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다음 녹화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전지적 참견 시점‘ 제작진과 이영자 소속사 양측은 현재 모두 대책회의 중으로, 입장이 정리되면 다시 밝힐 예정이다.

김진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