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전지적 참견 시점’ 제작진, ‘이영자 어묵’ 세월호 보도 장면 알고 썼다? 논란↑

MBC 예능 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이하 ‘전참시’) 제작진 측이 세월호 참사 뉴스특보 보도 장면인 것을 알고도 방송에 내보냈다는 보도가 나왔다.

10일 ‘한겨레’는 ‘전지적 참견 시점’ 제작진이 세월호 화면을 단순 실수가 아니라 알고 썼다고 보도했다. YTN 역시 MBC 자체 조사 결과 해당 프로그램의 조연출과 FD가 세월호 장면 삽입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다.







보도에 따르면 조연출은 제작진 단톡방에 “뉴스에서 ‘앵커 멘트로 ’속보입니다‘ 멘트에 바스트 영상 부탁해요, 뉴스 클립”이라는 의사를 전달했다.

이에 고참 FD가 주문에 맞는 화면 11개 클립을 찾아 자료 폴더에 올렸는데 이 중 3개의 클립이 세월호 화면이었다.

당시 FD들 사이에서도 “세월호 자료인데, 넣어도 되나요?”라며 논란이 일었지만, 조연출은 해당 그림을 미술부에 전달하며 세월호인지 알지 못하게 자막과 그림을 블러 처리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지어 해당 카카오톡 메시지 내용까지 공개돼 논란의 불씨는 더욱 커지고 있다.

문제가 된 방송 화면은 지난 5일 전참시에서 출연진인 이영자씨가 매니저와 어묵을 먹는 장면이다. ‘이영자 어묵 먹다 말고 충격 고백’이라는 자막과 함께 뉴스 화면이 합성됐는데, 그 영상이 세월호 참사 당시 MBC 뉴스특보로 알려져 논란이 커졌다. 해당 화면에서 인용된 ‘어묵’의 경우, 참사 당시 일간베스트 저장소(일베) 이용자 등 일부 네티즌들이 세월호 희생자들을 모욕하기 위해 사용한 것을 연상케 한다.


시청자들의 질타가 이어지자 MBC 측은 예능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 이 세월호 참사 보도 화면을 사용한 것에 대해 “세월호 피해자 가족 여러분과 시청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어 “본사는 긴급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이번 사안을 철저히 조사하겠다. ” 며 “또한 관련자의 책임을 묻고 유사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재발방지책을 강구하겠다. ”고 전했다.

MBC는 지난 해 12월 정상화 이후 세월호 참사에 대한 과거 왜곡 보도를 반성하고 세월호 유가족 여러분께 사과드린 바 있다. 그런데 다시 이런 사건이 발생한 것에 대해 “매우 죄송스럽고 참담한 심경이다”며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전지적 참격 시점’ 논란 이후 충격을 받은 출연자 이영자가 녹화에 불참, 최승호 MBC 사장이 연달아 사과문을 내놓고 있다.

MBC 최승호 사장은 “MBC는 지난 해 12월 정상화 이후 세월호 참사에 대한 과거 왜곡 보도를 반성하고 세월호 유가족 여러분께 사과드린 바 있다. 그런데 다시 이런 사건이 발생한 것에 대해 매우 죄송스럽고 참담한 심경”이라며 “이 사건을 보고받은 뒤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님께 직접 사과하고 철저한 조사를 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조사결과가 나오면 제가 직접 찾아뵙고 다시 한 번 사과드릴 예정”이라고 재차 사과했다.

한편, 방송심의소위원회(위원장 허미숙)는 10일 오후 회의에서 “세월호 유가족 및 희생자들의 명예를 훼손하고 시청자들의 윤리적 감정이나 정서를 해쳤다는 민원 취지를 고려해 긴급안건에 상정한다”며 만장일치로 ‘의견진술’을 의결했다.

이날 방송심의소위원회는 MBC-TV ‘전지적 참견 시점 - 2부’프로그램에서 출연자의 이른바 ‘먹방’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과거 세월호 참사 관련 화면을 편집하여 방송한 사안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을 조롱 및 희화화한 것으로, 이는 방송사의 단순 실수로 보기 어려워 이 같은 영상을 사용하게 된 경위 등을 살펴보고 제재조치를 결정하기 위해 전원합의로 ‘의견진술’을 청취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MBC ‘전지적 참견 시점’은 10일 추후 2주 결방한다고 확정했다. MBC 측은 10일 “진상조사위원회가 구성되고 조사가 착수됨에 따라 ‘전지적 참견 시점’은 12일과 19일, 2주간 결방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