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변상경 전 해양과학기술원장 "南北 해양과학 공동연구소 세우자"

'해양협력' 국제회의서 제언

"단절 가능성 염두에 두고 대비

해양의 지속가능한 이용 중점

과학용어 통일 등도 조율 역할"




“남북 정상회담과 ‘판문점 선언’으로 서해가 ‘평화의 바다’로 거듭나고 남북 교류를 이어가기 위해 해양과학을 공동으로 연구하는 기관을 설립해야 합니다.”

변상경(사진) 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은 11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회 농림식품해양수산위원회 설훈 위원장 공동 주최로 열린 ‘지속 가능한 연안해양생태계와 남북협력’ 국제회의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변 전 원장은 지난 2011년 50년 만에 한국인 최초로 ‘유네스코 산하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의장에, 2년 후 재선출된 해양과학 1세대 전문가다. 그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IOC 부의장을 역임했으며 IOC 의장을 수행하면서 전 세계 운용해양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륙별 포럼 주최 등 회원국 간 협력 증진에 노력한 점 등을 국제해양과학계로부터 인정받았다.

그는 “이번 판문점 선언을 기회로 개시될 교류와 협력에서는 과거와 같은 관계 단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해야 한다”며 “남북 간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의 창구 역할을 하도록 ‘남북해양과학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공동연구센터를 이용해 연안해양생태계와 해양환경 보전을 포함하는 해양의 지속 가능한 이용에 중점을 둬야 할 것”이라며 “해양생물·광물자원 개발, 독도 등 분쟁해역과 배타적경제수역(EEZ) 관할권 대응, 남북 해양 과학용어 통일 등 관심사항을 조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날 회의에 참석한 박병직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연구제도관리실장은 “남북이 지속적이고 영구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분야는 정치색이 없는 과학기술 분야”라며 “독일은 1990년 통일이 이뤄지기 전 과학기술 분야 교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고 다양한 연구사업을 통해 자연스레 인적 네트워크가 구축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도 과학 관련 사업에 북한 과학기술자를 포함하거나 과제 선정 시 북한 과학자를 참여연구원 형태로 함께하도록 유도하자고 제안했다.

장지영 생태지평연구소 협동처장은 “남북한 화해와 교류 활성화는 보전된 생태계를 훼손하는 환경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며 “공간적인 보전 전략과 시간적 로드맵이 통합된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에 대한 마스터플랜 수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행사는 판문점 선언 이후 해양 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유엔환경계획(UNEP) 산하 북서태평양보전실천계획(NOWPAP), 동아시아해양환경협력기구(PEMSEA), 황해광역생태계프로그램(YSLME) 등 다양한 국제기구와 국내 학계 전문가가 참여했다.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