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목 통증, 어깨 결림과 두통이 동반되는 목 디스크, 조기 발견이 중요




하루 종일 컴퓨터로 업무를 처리하고 지속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장인들은 과거에 비해 목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목 뒷부분의 통증, 목 전체가 단단하게 굳은 느낌이나 뻐근함을 동반하게 된다.

모니터의 높이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어깨와 목 근육에는 큰 부담이 발생하는데 이런 상태에서 오랜 시간 자세를 바꾸지 않고 업무를 지속하거나, 고개를 숙여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고개를 과도하게 숙인 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경추에 부담을 일으켜 목 디스크가 발병할 확률이 높아 진다.

목 디스크는 경추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물렁뼈 조직인 ‘디스크’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탈출하여 신경을 눌러 통증을 일으키는 증상이다. 목 디스크 초기에는 목 통증과 함께 어깨 주위나 날개뼈 주위 통증이 발생한다. 중기에는 심한 상지 저린감 및 통증, 힘 빠짐이 느껴지며, 오랜 시간 방치할 경우 하반신 마비까지 초래할 수 있다.


목 디스크 초기에는 약물 치료와 운동 치료와 같은 방법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이러한 치료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도 통증 개선이 되지 않고 증상의 정도가 심해진다면 경막외 신경성형술 및 유착박리술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관련기사



목 디스크 신경성형술 치료는 작은 구멍을 통해 통증을 유발하는 디스크 주위의 염증을 제거하고 유착을 박리하여 건강한 디스크와 조직을 최대한 보존하는 치료이다. 부작용, 후유증이 거의 없고 전신마취가 필요 없어 고령이나 당뇨 환자도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평촌우리병원 척추센터 조남익 원장은 “목 디스크는 초기 발견 시 치료가 용이한편이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어 신경 손상이 될 경우 치료 과정이 복잡하고 회복이 어려워진다”며, “목 통증과 더불어 어깨 상부의 통증과 결림, 팔과 손의 저림, 두통도 매우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통증이 지속된다면 검사를 통해 정확한 발병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했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