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세먼지, 국민 불안도 1위…북핵·자연재해 제쳐

보건사회연구원 설문조사…저성장·고령화·수질오염도 상위권

한국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가장 불안을 느끼는 위험요소는 미세먼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뉴스한국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가장 불안을 느끼는 위험요소는 미세먼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뉴스



한국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가장 불안을 느끼는 위험요소는 미세먼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기오염과 더불어 저성장, 고령화, 수질오염, 북한으로 인한 안보 위기도 국민에 불안을 안기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꼽혔다.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성인 3,839명을 대상으로 각종 위험에 대한 불안 수준을 측정해 펴낸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Ⅳ)’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높은 불안도를 기록한 항목은 ‘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오염’이었다. 점수는 3.46점이었다.


이번 조사는 1점(전혀 불안하지 않다)부터 5점(매우 불안하다)까지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대기오염 다음으로는 경기침체 및 저성장(3.38점), 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3.31점), 수질오염(3.29점), 성인병·실업 및 빈곤(각 3.27점), 북한의 위협 및 북핵 문제·노후(각 3.26점) 순이었다. 불안점수가 낮은 항목은 홍수 및 태풍(2.63점), 지진 및 쓰나미(2.73점), 가족해체 및 약화(2.64점), 권력과 자본에 의한 민주주의 위기(2.84점) 등이 있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환경 문제에 대해 불안이 높아진 이유에 대해 “2017년 초부터 미세먼지 증가 현상과 이를 둘러싼 오염원 논쟁이 확대되면서 대중의 인식이 부각된 결과”라면서 “생태 환경과 관련해 우리 국민은 자연재해보다는 환경 문제를 좀 더 일상에 가까운 사안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불안을 영역별로 나눠보면 환경 관련 위험에 대한 불안이 평균 3.31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제생활 불안(3.19점), 건강 불안(3.15점), 사회생활 불안(3.13점)도 순이었다. 그에 비해 생애주기 불안(3.04점), 정치·대외 관계 불안(2.97점), 자연재해 관련 불안(2.84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회적 계층과 연령에 따라서도 불안을 느끼는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자연재해와 건강, 생애주기 관련 영역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더 불안을 느꼈지만 범죄, 산업재해 등 사회적 영역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불안감이 컸다. 환경 문제는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 문제는 소득이 높을수록 불안 수치가 높았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