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궐련형 전자담배도 유해…12월부터 경고 그림

국내외 연구 "독성물질 상당" 분석

담배協 "근거없는 결정" 강력 반발

일반 담뱃갑 경고그림·문구도 강화

궐련형 전자담배 역시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타르와 같은 독성물질을 상당 수준 배출하는 등 건강에 해로운 만큼 강력하게 규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보건당국이 오는 12월부터 궐련형 전자담배에도 경고그림을 부착하기로 하자 관련 이익단체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1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궐련형 전자담배에 대한 국내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포름알데히드·벤조피렌 등 각종 발암물질을 포함한 유해물질들이 전자담배에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코스’를 판매하는 필립모리스의 자체 연구자료를 살펴봐도 자사 제품 담배 연기에 포함된 타르 함량이 일반 궐련과 큰 차이가 없었다. 또 저명한 의학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실린 분석 결과에서도 궐련형 전자담배는 니코틴과 일산화탄소뿐 아니라 각종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교체된 전자담배 경고그림과 문구      (서울=연합뉴스) 보건복지부가 담뱃갑에 새롭게 부착할 경고그림 및 문구(안) 12개를 확정하고, ‘담뱃갑 포장지 경고그림 등 표기내용(복지부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다음 달 4일까지) 한다고 14일 전했다. 사진은 궐련형 전자담배 담뱃갑 현행(왼쪽)과 교체 경고그림. 2018.5.14 [보건복지부 제공=연합뉴스]      phot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반영해 현재 ‘흑백 주사기’ 그림이 그려져 있는 전자담배의 경고그림을 12월23일부터 교체하고 암 유발을 상징할 수 있는 ‘암세포’ 그림(사진) 1종을 넣기로 했다.


이에 대해 한국담배협회는 “궐련형 전자담배 경고그림에 과학적 근거 없이 암세포 사진을 넣었다”며 보건복지부 결정에 반발하고 나섰다. 담배협회는 이날 반박자료에서 “세계적으로 궐련형 전자담배에 경고그림을 부착한 사례가 없으며 유해성 논란이 진행 중이기에 경고그림 도입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12월부터는 일반 담뱃갑에 적용하는 흡연 경고그림의 수위가 높아지고 경고문구도 강화된다. 복지부는 흡연율을 떨어뜨리기 위해 담뱃갑에 부착하는 경고그림과 경고문구 12개를 확정하고 12월23일 시행을 목표로 행정예고한다고 이날 밝혔다. 기존 담뱃갑에 부착되는 10종의 경고그림은 모두 새로 교체되고 경고그림 아래에 들어가는 경고문구도 바뀐다. /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