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4차혁명은 융복합인재에 달렸다"..KAIST 등 과기대들 '無學과' 도입

카이스트, 내년부터 50명 규모 무학과 신설

포스텍, 희망자에 학과·학부 불문 수업 허용

울산과기원, 타과 수업 부담없이 듣도록 지원

광주과기원, 조만간 융합과정 신설키로

대구과기원, 이미 무학과 단일학부 운영

유니스트 융합전공 학생의 올해 졸업작품인 유아용 식탁의자. 그네처럼 움직이는 의자와 발판으로 아이가 놀이하듯이 식사할 수 있도록 했다. /사진제공=UNIST유니스트 융합전공 학생의 올해 졸업작품인 유아용 식탁의자. 그네처럼 움직이는 의자와 발판으로 아이가 놀이하듯이 식사할 수 있도록 했다. /사진제공=UN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스텍 등 과학기술 대학들이 과의 벽을 허물어 융·복합형 인재 양성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제2차 과학기술원 4차인재위원회’를 열어 4대 과학기술원과 포스텍(POSTECH)의 ‘무(無)전공·무학과 제도 ’ 확대방안을 협의했다.


카이스트는 올해 신입생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내년에 정원 50명 규모의 무(無)학과인 ‘융합기초학부’ 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론과 세미나, 실험, 연구, 인턴십을 연계하는 새로운 교육 과정이다.

관련기사



포스텍은 입학 뒤 3학기까지 학과를 알아볼 기회를 주고, 희망자에 한해 졸업할 때까지 학과나 학부 없이 수업을 듣는 ‘무은재(無垠齋) 새내기학부’ 운영 계획을 내놨다. 무은재는 김호길 초대총장의 호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역시 융합 전공 과정을 신설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앞서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미 전원 무학과 입학을 통해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역시 무학과 시스템을 도입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인재양성”이라며 “이공계 교육의 선도모델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와 협의해 다른 대학으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