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존층 파괴' 프레온가스 배출 주범으로 지목된 동아시아

국제과학자 연구팀 조사

"2012년부터 농도감소세 줄어

오존층 회복 10여년 늦어질듯"

지구 오존층을 파괴해 국제협약으로 생산이 전면 금지된 염화불화탄소(CFCs), 이른바 프레온가스의 대기 내 수치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과학계가 배출 주범으로 동아시아를 지목했다.  /서울경제DB지구 오존층을 파괴해 국제협약으로 생산이 전면 금지된 염화불화탄소(CFCs), 이른바 프레온가스의 대기 내 수치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과학계가 배출 주범으로 동아시아를 지목했다. /서울경제DB



지구 오존층을 파괴해 국제협약으로 생산이 전면 금지된 프레온가스로 불리는 염화불화탄소(CFCs)의 대기 내 수치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과학계가 배출 주범으로 동아시아를 지목했다.

17일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국제 과학자 연구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CFC의 일종인 CFC-11의 농도는 2002년부터 10년간 지속해서 감소해왔다. 그러나 2012년부터는 감소세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이것이 동아시아에서 2012년 이후 CFC-11 배출량을 늘리고 있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CFC-11이 이미 생산된 제품에서 나왔거나 다른 화학제품 생산 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부산물로 생산됐을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봤다. 대신 일부 국가에서 CFC 대체 물질을 생산하는 것이 비용이 더 들거나 기술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어 불법적인 생산이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팀은 CFC-11 감소세가 줄어든 것이 오존층의 정상 회복을 방해할 것이라면서 “오존층이 제때 회복할 수 있을지는 CFC-11의 지속적인 감소세에 달려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한 번 배출된 CFC-11은 대기에 50년간 남아 있다. 이같은 배출이 계속된다면 오존층 정상 회복은 10년가량 더 늦어질 것이라고 연구팀은 전망했다. 지구 10~40㎞ 상공의 성층권에 있는 오존층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치명적인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국제사회는 에어컨 냉매나 스프레이용 압축가스로 이용되는 CFC가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밝혀진 뒤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를 체결해 이의 생산을 사실상 전면 금지했다. 선진국은 1990년 중반부터, 나머지 국가는 2010년부터 몬트리올 협약 적용을 받아왔다.

오존층 파괴는 금세기 전환기를 정점으로 줄어들어 남극 상공의 ‘오존 구멍’은 확실한 회복세를 보여왔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이날 이번 연구결과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오존층은 금세기 중반까지 계속 회복세를 유지해야 한다”면서 “CFC-11이 지속해서 늘어나는 것은 이런 과정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해 원인을 찾아내고 필요한 조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