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트럼프 "김정은 체제 안전보장"...핵담판, 결국 北 페이스로

"리비아 모델 아니다" 北 달래기

결단 땐 '한국 모델' 경제 지원

협상 깨지면 리비아처럼 섬멸

트럼프, 北 돌변 習 배후론 제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의 회담 후 북한 비핵화 문제에 리비아 모델을 적용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협상 성사 시 김정은 정권의 체제 보장을 약속했다(위쪽 사진). 리비아 모델 적용에 반발하며 북미 정상회담 무산 가능성을 내비친 북한은 18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1차 확대회의를 열었다.   /워싱턴DC·평양=EPA연합뉴스·조선중앙통신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의 회담 후 북한 비핵화 문제에 리비아 모델을 적용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협상 성사 시 김정은 정권의 체제 보장을 약속했다(위쪽 사진). 리비아 모델 적용에 반발하며 북미 정상회담 무산 가능성을 내비친 북한은 18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1차 확대회의를 열었다. /워싱턴DC·평양=EPA연합뉴스·조선중앙통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 ‘리비아 모델’을 적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직접 밝혔다. 아울러 비핵화 합의가 이뤄지면 김정은 체제를 강력히 보장하고 북한의 경제번영도 지원할 것임을 시사했다. 북한이 돌변한 상황의 배후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지목하기도 했다. 북한이 리비아 모델 적용에 반발하며 북미 정상회담 재고려라는 강수를 두자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수습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국내외 북한 전문가들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의 수싸움에서 밀리기 시작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불발 시 리비아처럼 섬멸될 수 있다는 점을 우회 경고하기는 했지만 미국 정부의 당초 목표인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에서 멀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면담하던 중 “리비아 모델은 우리가 북한에 대해 생각하는 모델이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존 볼턴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줄곧 강조해온 비핵화 모델을 부정한 것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카다피 모델은 완전 초토화였다”며 “만약 (비핵화)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그(리비아) 모델이 출현할 것”이라고 경고하는 동시에 “만약 합의한다면 김정은은 매우 매우 매우 행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더해 “김정은은 그의 나라에서 나라를 운영하고 북한은 매우 잘살게 될 것”이라고도 말했다. 북한의 롤모델로는 근면으로 대변되는 ‘한국’을 꼽았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성공적 협상을 위해 ‘양보와 경고’ 병행작전에 나섰지만 대북 전문가들은 우려스럽다는 시각을 나타냈다. 마이클 그린 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부소장은 “주요 협상 목표를 놓고 대통령이 국가안보참모와 공개적으로 이견을 노출하면 우방과 동맹을 혼란스럽게 하고 북한을 대담하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