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勞반발에 대우건설 사장 선임 진통

"산업은행이 후보 추천 주도

삼성물산 재직때 인명사고도"

노조, 김형 후보 새의혹 제기

대우건설 노조가 23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집회를 열고 대우건설 신임 사장 선임 절차 중단 및 김형 후보의 자진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우건설 노조대우건설 노조가 23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집회를 열고 대우건설 신임 사장 선임 절차 중단 및 김형 후보의 자진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우건설 노조



지난 18일 대우건설 신임 사장 후보로 결정된 김형 전 포스코건설 부사장에 대해 노조가 선임 과정 및 경력과 관련된 새로운 의혹을 제기하는 등 반발에 나서면서 사장 선임 과정이 진통을 겪고 있다. 후속 절차인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거쳐 사장 선임이 완료되더라도 당분간 내부 안정화가 대우건설의 최대 과제가 될 전망이다.


전국건설기업노동조합 대우건설지부(대우건설 노조)는 23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집회를 열고 “대우건설 사장후보추천위원회(사추위)가 5명 위원 만장일치로 김형 후보자를 추천했다고 해명했지만 사실과 다르다”며 “실제로는 산업은행 측 위원 3명만 김 후보자를 추천했고 여론을 의식해 외부에는 만장일치로 추천한 것으로 공개하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사추위 위원인 산업은행의 전영삼 부행장, 양채열 사외이사, 대우건설의 최규운·우주하 사외이사, 권주안 주택산업연구원장 5명 중 3명이 산업은행의 뜻대로 이번 사장 후보 선임 과정을 주도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또한 대우건설 노조는 김 후보의 경력과 관련해 “삼성물산 부사장 재직 중인 2015년 14명이 사망한 베트남 중부지역 항만공사현장 붕괴사고가 있었고 그해 9월 포스코건설 글로벌인프라사업본부장(부사장)으로 이직하는 과정에서는 당시 황태현 대표이사 사장과 고등학교 동문이었던 학연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있다”며 “포스코건설 글로벌인프라사업본부 실적도 2015년 매출 1조 1,439억원, 영업손실 474억원에서 2016년 매출 8,277억원, 영업손실 989억원으로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사장 선임을 위한 후속 절차인 이사회 및 주주총회 일정에 대해 일절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밀실·낙하산 인사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노조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