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 개최의 불씨를 끄지 않고 간신히 살려둔 셈이다. 그러나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서한이라는 정중한 형식을 취한 데 반해 북한이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담화문으로 대응한 것은 격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부상은 25일 담화문에서 “조미 수뇌상봉(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표명이 조선반도(한반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인류의 염원에 부합되지 않는 결정이라고 단정하고 싶다”면서도 “벌어진 불미스러운 사태는 역사적 뿌리가 깊은 조미(북미) 적대관계의 현 실태가 얼마나 엄중하며 관계 개선을 위한 수뇌상봉(정상회담)이 얼마나 절실히 필요한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이 미국의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나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맹비난한 것과 달리 트럼프 대통령을 치켜세우는 듯한 언급도 있었다. 김 부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시기 그 어느 대통령도 내리지 못한 용단을 내리고 수뇌상봉이라는 중대 사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데 대하여 의연 내심 높이 평가해왔다”면서 “‘트럼프 방식’이라는 것(비핵화 방식)이 쌍방의 우려를 다 같이 해소하고 우리의 요구조건에도 부합되며 문제 해결의 실질적 작용을 하는 현명한 방안이 되기를 은근히 기대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김 부상이 북미 정상회담 개최의 여지를 남겨놓은 것은 긍정적이지만 격이 맞지 않는 대응이라는 시각도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서한이라는 정중한 양식을 취했으면 북한도 그에 준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직접담화 또는 국무위원회 성명을 내놓았어야 한다”며 “더구나 김 부상은 볼턴 보좌관을 공격한 문제 당사자이기도 해 북미 정상회담을 재개하기에는 명분이 약하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