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또 ‘솔선’ 요구받는 은행권…근로시간 단축 도입 분주

[앵커]

은행권이 1년의 유예기간을 받고도 당장 오는 7월 근로시간 단축제를 도입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모범을 보여달라고 정부가 부탁했기 때문인데요.

정부 영향력에 취약한 은행권이 또다시 공기업처럼 정책 모범사례에 동원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시중은행들이 오는 7월 주 52시간 근무제를 조기 도입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습니다.

애초 금융업은 특례업종에서 제외돼 내년 7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이 은행연합회를 방문해 “은행이 노동시간 단축을 조속히 안착시켜 다른 업종에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문한 뒤 일정이 빨라졌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시간이 촉박해졌지만, 당장 큰 변화가 예상되지는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이미 자율 출근제와 PC오프제 등으로 근무시간이 52시간 이내로 운영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문제는 공항과 산업단지 등 특수점포와 IT·전산 등 업무 특성상 야근이 잦은 부서 직원들의 근무 방식도 바꿔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들에 대해서는 52시간이 넘는 근무에 대해 대체휴가를 주는 방안 등이 거론되지만, 명절에도 24시간 운영되는 전산실 등에서는 당장 현재 인력 구조로 불가능한 일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편 인허가권을 쥐고 있는 정부 요구에 늘 취약하기만 한 은행권 현실에 대한 볼멘소리도 나옵니다.

매번 마치 공기업처럼 정부 정책 홍보와 확산에 손쉽게 동원된다는 겁니다.

대표적으로 지난 정부 때도 은행권은 성과주의 확산의 모범 케이스가 돼 달라는 주문을 받은 바 있습니다.

당시 노사 대립이 극에 달하면서 경영진은 협상 테이블을 떠나버렸고, 노조는 총파업을 벌이면서 금융권 전체가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