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확연해진 경기 둔화...동행·선행지수 동반 하락

■4월 산업활동 동향

반도체 힘입어 생산 늘었지만

설비투자 2개월연속 마이너스

소매판매 -1%...넉달만에 감소




현재와 미래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 및 선행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통계수치로 다시 한 번 확인된 셈이다. 지난달 생산을 제외한 소비와 투자 등 주요 내수지표들도 일제히 악화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산업생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기지표가 후퇴하는 모습을 보였다.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지난 1월 1.9%, 2월 0.6%, 3월 2.9% 증가했지만 지난달은 1.0% 감소했다. 미세먼지와 주말 폭우로 야외활동이 줄며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급감한 영향이 컸다. 투자동향을 보여주는 4월 설비투자지수는 전월보다 3.3% 감소했다. 3월에 7.8% 줄어든 데 이어 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3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월과 3월 각각 0.2포인트 떨어진 데 이어 4월에는 0.4포인트 하락했다. 지수 자체도 기준치인 100에 턱걸이했다. 100 미만이면 경기 하강 국면으로 해석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하는 선행지수에서도 한국은 올 1~3월 3개월 연속 100을 밑돌았다.

관련기사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역시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선행지수와 동행지수가 동반 하락한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6개월 만이다.

다만 전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달 대비 1.5%를 기록하면서 ‘감소’에서 ‘증가’로 반전했다. 2월(-0.2%), 3월(-0.9%) 두 달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다 3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선 것이다. 1.5%라는 증가폭은 2016년 11월(1.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최근 우리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반도체가 9.9% 상승한 영향이 컸다. 그동안 수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자동차생산도 전월보다 6.7% 늘면서 지표 개선에 일조했다. 하지만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5.6%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자동차는 전년 동월 대비 생산이 올해 들어 계속 마이너스여서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기 동행·선행지수는 지난해 2·4분기 고점을 찍은 후 계속 하락세에 있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4월 제조업생산이 개선됐다고 하지만 생산지수는 여전히 양호하다고 보기 어려운 수준이며 소비·투자·선행지수 등 주요 지표가 모두 부진해 걱정스럽다”며 “경기침체의 초입 단계에 있다고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제활력 자체를 끌어올릴 수 있게 대대적인 구조개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