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문정인 예언 또 적중? 트럼프 “대북원조, 한·중·일이 할 것”

트럼프 "미국은 멀리 떨어져 있어...돈 써야할 것으로 생각지 않아"

"한국에 준비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논란 소지도

앞서 문정인 "트럼프는 한 푼도 손해보지 않고 비핵화 달성했다고 이야기할 것"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지난달 25일 오후 국호 의원회관에서 사단법인 내나라연구소와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실 주최로 열린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의 미래’ 토론회에서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지난달 25일 오후 국호 의원회관에서 사단법인 내나라연구소와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실 주최로 열린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의 미래’ 토론회에서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 시간) 대북경제원조와 관련해 “한국이 그것을 할 것”이라며 “솔직하게 말하면 중국과 일본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북한과 비핵화 협상만 하고 북한의 경제 발전을 위한 비용 지원에서는 끼지 않겠다는 뜻을 일치감치 표명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는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계속해서 예언을 적중해 ‘문 스트라다무스’라는 별명까지 얻은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이전에 언급한 것이어서 문 특보의 과거 발언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1일 백악관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과 만난 후 기자들과 만나 “(대북 경제원조에)미국이 돈을 써야 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미국은 많은 돈을 쓸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명분으로 물리적 거리를 들었다. 그는 “우리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수천, 6,000 마일 떨어져 있다”며 “그런데 그들(한중일)은 이웃 국가”라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대단한 일이 (북한에서) 일어나는 것을 진실로 원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들은 이웃 국가이고 우리는 이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미 한국에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일본도 마찬가지”라고도 언급했다. 이런 발언은 미국 행정부의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북원조의 상당 부분을 한·중·일로 돌리겠다는 의미여서 논란의 소지가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최근 미국민의 세금을 들여 북한을 지원하는 대신 미국 민간 부문의 투자와 대북 진출, 기술 지원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영철(왼쪽)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90분간 면담한 뒤 걸어 나오고 있다. /워싱턴DC=EPA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영철(왼쪽)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90분간 면담한 뒤 걸어 나오고 있다. /워싱턴DC=EPA연합뉴스


이는 문 특보의 예언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다. 문 특보는 4·27 남북 정상회담 전날인 26일 일산 킨텍스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에) ‘단 한 푼도 손해 보지 않고 (북한 비핵화를) 달성했다. 경제·에너지 지원을 안 하고 이뤄냈다’고 이야기할 것”이라며 “그럼 누가 부담하게 될까. 미국이 돈을 내기 싫다고 한다면 다른 국가가 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미국과 북한의 양자 합의도 중요하지만 다른 국가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 맨’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의 세금을 써서 북한의 비핵화를 달성했다는 비난을 듣지 않으려 할 것이고, 그럼 북한 개발 초기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에너지 지원 등은 한국 등 주변국이 맡아야 한다는 뜻이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