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반구대 암각화서 새로운 형태의 척추동물 발자국화석 발견

울주 반구대 암각화 주변에서 나온 4족 보행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오른쪽 앞발과 뒷발자국 /사진제공=문화재청울주 반구대 암각화 주변에서 나온 4족 보행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오른쪽 앞발과 뒷발자국 /사진제공=문화재청



지난 3월 시작한 발굴조사를 통해 공룡 발자국화석 30개가 발견된 울산 울주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 주변에서 국내에서 한 번도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4족 보행 척추동물 발자국화석이 추가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암각화 북동쪽 암반에서 약 1억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에 물과 육지에서 활동한 4족 보행 척추동물이 걸어가며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발자국화석 18개를 지난 1일 찾았다고 5일 밝혔다.

관련기사



발자국화석은 앞발과 뒷발이 각각 9개다. 발자국 크기는 앞발이 약 3㎝, 뒷발이 대략 9.6㎝로 뒷발이 앞발보다 훨씬 크다. 발가락 개수는 앞발이 4개, 뒷발이 5개로 조사됐다. 앞발 발자국은 뒷발 발자국 바로 앞에 찍혔으며, 발 사이 간격은 앞발이 뒷발보다 좁다. 발자국 사이에는 배를 끈 것으로 판단되는 흔적이 남았다. 이러한 형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많은 발자국 화석들(공룡, 익룡, 거북, 악어, 도마뱀과 기타 포유동물의 발자국 화석)과 다른 새로운 형태다. 해부학적 특징에 따른 발자국 형태를 비교해본 결과,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한 번도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형태의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으로 추정된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정확한 연구를 위해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견, 보고된 4족 보행 척추동물과 화석으로 남은 발자국·골격을 대상으로 형태와 해부학적 비교연구를 수행하여 4족 보행 척추동물의 정체를 밝힐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