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남북관계 개선땐 DMZ 유해발굴 우선"

대전현충원서 19년만에 추념식

문재인 대통령이 6일 현충일을 맞아 대전현충원 현충탑 앞에서 현충일 추모식 추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6일 현충일을 맞아 대전현충원 현충탑 앞에서 현충일 추모식 추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현충일을 맞아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비무장지대의 유해 발굴을 우선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미군 등 해외 참전용사들의 유해도 함께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군인과 경찰의 유해 발굴도 마지막 한 분까지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63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통해 “보훈은 국가를 위한 헌신에 대한 존경이며 이웃을 위한 희생이 가치 있는 삶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의 가슴에 깊이 새기는 일, 나라를 나라답게 만드는 기본”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또 “애국과 보훈에 보수와 진보가 따로 일 수 없다”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정부가 대전현충원에서 현충일 추념식을 개최한 것은 지난 1999년에 이어 두 번째다. 대전현충원에서 이번 행사를 연 데는 주로 군인 등이 중심인 보훈의 범위를 앞으로 의로운 일을 한 일반인 등으로 넓히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대전현충원에는 민간인 의사상자와 소방 및 순직 공무원, 독도의용수비대 묘역도 함께 조성돼 있다. 문 대통령은 “일제 치하, 앞장서 독립만세를 외친 것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전쟁터에 나간 것도, 누구보다 성실하게 일하며 경제발전에 이바지한 것도,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을 때 두 주먹 불끈 쥐고 거리에 나선 것도 모두 평범한 우리 이웃, 보통의 국민이었다”고 되짚었다.

추념식 시작보다 10여분 먼저 현장에 도착한 문 대통령은 제일 먼저 고 김기억 육군 중사(한국전쟁 전사자) 등 무연고 묘지를 찾아갔다. 현직 대통령의 무연고 묘 참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