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위치 잃어버렸던 백제 벽돌무덤, 80년만에 재발견

왕릉급 무덤 vs 미완성 무덤 의견 분분

조사단은 '왕릉급 무덤' 의견에 무게

공주 교촌리 벽돌무덤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출처=연합뉴스공주 교촌리 벽돌무덤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출처=연합뉴스



일제강점기 발굴조사 이후 80년 가까이 정확한 위치를 잃어버린 백제 웅진도읍기(475∼538) 당시의 벽돌무덤을 찾았다.

공주시와 공주대박물관은 충남 공주시 교동에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백제 교촌리 벽돌무덤을 다시 찾았다고 7일 밝혔다. 교촌리 벽돌무덤은 1939년 일본인 고고학자 사이토 다다시와 가루베 지온이 조사한 결과 미완성 무덤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교촌리 벽돌무덤은 무령왕릉처럼 터널형 구조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은 가로 3m·세로 6.1m·높이 2m이며, 묘실은 가로 1.9m·세로 3.4m·높이 1.6m다. 김현숙 공주대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연꽃무늬 벽돌을 사용한 무령왕릉과 달리 교촌리 벽돌무덤의 벽돌에는 무늬가 없고, 벽돌을 가로로 쌓아 무덤을 조성했다”며 “이 무덤이 무령왕릉 축조를 위해 연습용으로 만든 미완성 무덤인지, 무령왕릉 이전에 만든 왕릉급 무덤인지는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조사단은 교촌리 벽돌무덤을 미완성 무덤보다는 백제 왕릉급 무덤 쪽으로 보는 시각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1530년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향교 서쪽에 무덤이 있는데, 백제왕릉이라고 전한다”는 대목과 일치하고, 미완성이라고 볼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 조사단의 입장이다.

김 연구사는 “가루베 지온은 무덤 안에 점토가 있고 무덤으로 들어가는 길이 완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바탕으로 미완성 무덤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며 “이번 조사에서 벽돌무덤 주변에 본래 점토가 많고, 무덤길에 나무문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령왕릉에 있는 창문 시설인 가창(假窓)은 없으나, 등잔 따위를 놓는 감실(龕室·움푹 판 구멍)이 있어 조심스럽게 해석하면 무령왕릉보다 이른 시기 왕릉급 무덤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