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싱가포르 세인트 리지스 호텔, 김정은 숙소로 유력

기존 후보지였던 풀러턴 호텔은 '특별행사구역' 지정 안돼

8일 오전 0시 5분(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숙소로 유력한 싱가포르 세인트 리지스 호텔에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이용하는 차량이 들어서 있다./출처=연합뉴스8일 오전 0시 5분(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숙소로 유력한 싱가포르 세인트 리지스 호텔에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이용하는 차량이 들어서 있다./출처=연합뉴스



싱가포르의 세인트 리지스 호텔이 6.12 북미정상회담 기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머무를 숙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 미국과 실무협의를 진행했던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7일 싱가포르에 재입국했다. 그는 8일(현지시각) 세인트 리지스 호텔에 북한실무팀 차량을 타고 모습을 드러냈다. 이에 따라 세인트 리지스 호텔이 이번 정상회담 기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숙소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날 중국 베이징에서 싱가포르행 중국 국제항공 CA969편에 탑승한 김 부장은 같은 날 창이국제공항에 내린 뒤 이 호텔로 향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차량으로 15분 남짓 걸리는 거리를 이동하는데 2시간 가까운 시간이 걸린 것과 관련해 다른 장소에 들렀거나 세인트 리지스 호텔 앞에 운집한 취재진을 피하려 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관련기사



싱가포르 정부는 지난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숙소로 거론되는 샹그릴라 호텔과 세인트 리지스 호텔이 포함된 시내 탕린 권역을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특별행사구역’으로 지정했다. 북한 실무팀의 숙소이기도 한 풀러턴 호텔이 김 위원장의 숙소가 될 것이라 거론됐지만, 풀러턴 호텔은 싱가포르 정부가 지정한 ‘특별행사구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현지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숙소와 가깝고 2015년 양안 정상회담 때 중국 대표단의 숙소로 활용되기도 했던 세인트 리지스 호텔을 유력한 후보로 제기했다.

7일 싱가포르 경찰은 세인트 리지스 호텔 주변과 북미정상회담 장소로 확정된 센토사 섬 카펠라 호텔 진입로 등에 이동식 CCTV 수십개를 설치했다. 현재까지 이동식 CCTV가 설치된 장소는 이 두 곳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