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암생존자, 당뇨병 걸릴 위험 일반인의 1.35배

국립암센터·삼성서울병원 연구팀

췌장암 5배, 콩팥암·간암 2배 순

스테로이드·일부 항암제 등 영향

암생존자는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일반인보다 평균 1.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적으로는 암 진단 2년 이내가 가장 위험이 컸다.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에 생긴 악성 종양인 췌장암 환자는 당뇨병 발병 위험이 5.15배로 가장 높았다. 이어 콩팥암(2.06배), 간암(1.95배), 담낭암(1.79배), 폐암(1.74배), 혈액암(1.61배), 유방암(1.60배), 위암(1.35배), 갑상선암(1.33배)이 그 뒤를 이었다.


국립암센터 황보율 전문의와 공선영 진단검사의학과장, 삼성서울병원 조주희 임상역학연구소 교수와 강단비 박사팀은 약 50만명의 국가표본 코호트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연구팀은 이들을 암 치료를 받은 환자와 암을 경험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눠 평균 7년 동안 당뇨병 발생 여부 등을 추적했다.

당뇨병은 암 자체나 암 치료 과정 중 다양한 요인에 의해 증가했다. 황보율 전문의는 “항암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고용량 스테로이드나 일부 항암제는 직접적으로 고혈당을 유발한다”며 “최근 늘어나는 표적·면역치료제 역시 부작용으로 당뇨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당뇨병의 주요 위험요인인 비만, 운동 부족, 불균형 식사, 담배, 음주는 암의 위험요인이기도 하다. 조주희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암환자는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에 더 취약할 수 있다”며 “갈수록 늘어나는 암생존자들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유방암 환자인 A씨(47·여)는 수술 후 항암치료 과정에서 당뇨병이 생겼다. 공복혈당이 126㎎/㎗ 이상이면 당뇨병(정상은 100㎎/㎗ 미만)인데 여러 차례 130㎎/㎗를 넘어섰다. 지난 1~3개월 평균 혈당조절 상태를 보여주는 당화혈색소 수치도 7.5%까지 상승해 당뇨병 약을 먹기 시작했다. 고혈당은 방사선·호르몬 치료 기간에도 지속돼 당뇨 약을 계속 먹고 있다.

관련기사



췌장암 부분절제술을 받은 B씨(65·남)는 수술 3개월 후 정기 혈액검사에서 혈당이 200㎎/㎗ 이상, 당화혈색소 9%인 중등도 당뇨병인 것으로 확인돼 인슐린 치료를 받고 있다. 수술 후 1년이 지난 지금도 치료 중이다.

혈뇨로 병원을 찾았던 C씨(70·남)는 콩팥암으로 한쪽 콩팥을 떼냈는데 암 전이가 발견돼 표적 항암치료를 받고 있다. 그러던 중 멀쩡하던 혈당이 치솟아 당화혈색소가 8.6% 수준이다. 한 가지 당뇨 약으로는 조절이 안 돼 3가지 약으로 병합 치료를 받고 있다.

국내 신규 암환자는 매년 21만명 넘게 발생하며 조기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장기 생존자 역시 증가하고 있다. 2015년 국가암등록통계 기준 암으로 치료 중이거나 완치 후 생존한 암유병자는 161만명에 이른다. 그래서 최근에는 암생존자의 당뇨병·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 합병증 관리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사협회지(JAMA·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자매지인 ‘미국의사협회 종양학회지’(JAMA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