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1.50~1.75%에서 1.75∼2%로 0.25%포인트 올렸다. 이로써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년 만에 미 기준금리 상단이 2%대 진입하게 됐다. 연준은 그와 동시에 올해 하반기 두 번의 추가인상을 예고했다. 추가인상 횟수를 지난 3월 시사한 3회에서 4회로 늘린 것이다. 이렇게 되면 연말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포인트까지 높아지게 된다.
한국은행(1.50%)을 비롯해 주요국 중앙은행과의 정책금리 격차가 더 벌어질 공산이 커졌다. 당장 ‘6월 위기설’에 휩싸인 신흥시장의 긴장감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달러화 강세와 맞물려 상대적으로 미국 금융시장으로 본격적으로 ‘머니무브’가 일어나 취약한 신흥시장이 직격탄을 맞을 우려가 커졌다
연준은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올렸다. 애초 이번 금리 인상은 기정사실화 된 것이어서 시장의 관심은 앞으로의 인상 속도에 맞춰졌다.
연준은 통화정책회의 직후에 공개된 점도표(dot plot)에서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겠다는 시그널을 보냈다. 점도표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 개개인의 금리 인상 스케줄을 분포도로 정리한 일종의 설문조사다. FOMC 위원 15명 가운데 8명이 4차례 인상을 예상했다. 지난 3월의 7명에서 1명이 늘어난 것이다. 그밖에 5명이 3차례, 2명은 2차례 인상을 각각 내다봤다.
이에 따라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치(중간값 기준)는 2.38%로 0.25%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기존의 연간 3차례에서 4차례로 금리 인상 횟수를 늘리겠다는 신호다. 올해 상반기 두 차례 인상을 단행한 상황에서 하반기에도 두 차례 인상을 예고한 셈이다. 시장에서는 9월과 12월이 유력하다 보고 있다.
연준이 통화 긴축의 속도를 높인 것은 기본적으로 물가와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한 것이다. 연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7%에서 2.8%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고, ‘완전고용’으로 평가되는 실업률 전망치는 3.8%에서 3.6%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인플레이션도 연준 목표치인 2%에서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연준이 선호하는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상승률은 1.9%에서 2.0%로 전망치를 높였다.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와 맞물려 고공행진을 하는 국제 유가를 물가 상승요인으로 꼽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최근 인플레이션 지표는 고무적이고 성장 전망은 긍정적”이라며 “미국 경제가 매우 잘 돌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FOMC 성명서에서는 자신감이 드러났다. 소극적인 기류를 반영하는 문구들은 삭제하고 통화정책의 ‘조정’이라는 표현을 ‘인상’으로 바꿨다. 금리 인상 기조를 더욱 명확하게 밝힌 셈이다. 또 “경제 활동이 탄탄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달의 ‘완만하다’는 표현보다 한층 긍정적인 전망을 보인 것이다.
연준 지도부가 ‘매파’(통화긴축 선호) 목소리를 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파월 의장은 비교적 온건한 성향으로 분류되지만, 전반적인 연준 지도부 면면에서는 매파적 색채가 강하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었다. 다만, 성명 이후 진행된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은 시장 우려를 진화하는데 방점이 찍힌 모양새였다. 파월 의장은 ‘점진적 인상 기조’를 거듭 강조하면서 “너무 빠르거나 느린 금리 변화는 나쁜 결과를 낳는다”고 전했다. 시장의 과민반응을 경계한 셈이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