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중산층, 최빈곤층보다 기부 지출 비중 적어




지난해 상대적으로 소득이 안정된 중산층이 빈곤층보다 종교·사회시설에 기부한 지출 비중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가계지출은 331만6,000원으로 이중 ‘비영리단체로의 이전’ 지출은 8만4,000원(2.54%)이었다.

‘비영리단체로의 이전’은 비소비지출 항목 중 하나로, 교회 등 종교시설이나 사회단체 등에 기부한 금액을 뜻한다.

하지만 중간 소득 수준의 가계일수록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기부금 지출 비중이 작게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기부금 지출은 3만3,000원으로 전체 가계지출(132만7,000원)의 2.56%를 차지했다. 전체 평균(2.54%)을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2분위 가구의 기부금 지출 비중은 1분위보다 높은 2.67%(5만7,000원)였다.

관련기사



하지만 중산층에 속하는 3분위와 4분위의 기부금 비중은 각각 2.37%(7만2,000원), 2.43%(9만9,000원)로 1·2분위 가구보다 더 낮았다. 이는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기부금 지출은 16만원으로 전체 가계지출(603만원)의 2.66%를 차지했다.

이 같은 모습은 중산층이나 고소득자 중심으로 기부 참여율이 빠르게 줄어드는 최근 추세를 반영한 결과다.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1년간 기부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이들은 2011년 조사 때 응답자의 36.4%였으나 2017년 조사 때는 26.7%로 9.7% 포인트 하락했다.

이중 월 가구 소득이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인 이들은 기부 참여 비율이 같은 기간 50.7%에서 32.4%로 18.3% 포인트나 줄어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월 가구 소득 600만원 이상 응답자의 기부 경험 비율은 59.5%에서 45.2%로 14.3% 포인트 줄었다. 반면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응답자는 기부 경험 비율 감소 폭이 8∼9% 포인트 내외인 것으로 나타나 대비를 이뤘다.

월 가구 소득 600만원 이상이면서 과거 1년간 기부 경험이 없는 이들은 기부하지 않은 이유로 ‘경제적 여유가 없다’(34.3%)는 답변을 가장 많이 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