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민주, 9월 전당대회 검토…‘친문재인 교통정리’ 주목

6·13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둔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일정을 논의한다.

민주당은 애초 8월 하순으로 예상됐던 전당대회를 9월 초·중순으로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이번 주 중 개략적인 일정을 확정,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를 구성할 계획이다.


원래는 2년 임기의 추미애 대표가 2016년 8월 27일 선출된 만큼 바통을 이을 새 대표 선출도 8월 말에는 마무리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전당대회가 9월로 밀리면 추 대표는 그때까지 대표직을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홍영표 원내대표/사진=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홍영표 원내대표/사진=연합뉴스



민주당은 전당대회 시간표를 짠 후 곧바로 전준위 구성에 착수한다. 전준위원장은 선거에 출마하지 않는 중진 의원이 맡는다. 전준위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룰 세팅’이다.


현재로선 최고 득표자가 대표가 되고 차순위 득표자가 최고위원이 되는 ‘순수 집단지도체제’ 대신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도입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특히 이번에 선출되는 당 대표는 오는 2020년 21대 총선 공천권을 쥐기 때문에 더 막강할 수 있다.

대표 후보군으로는 7선의 이해찬 의원, 6선의 이석현 의원, 5선의 이종걸 의원, 4선의 김진표·박영선·설훈·송영길·안민석·최재성 의원, 3선의 우상호·우원식·윤호중·이인영 의원, 재선의 박범계·신경민·전해철 의원, 초선의 김두관 의원 등이 거론됐다.

4선의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나 3선의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의 출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중 당내 최대 계파인 친문(친문재인) 세력이 누구를 단일 후보로 내세울 것이냐는 최대 관심사다. 당권을 두고 친문끼리 충돌하는 모양새를 피하기 위해 교통정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최주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