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은딱새 이동경로 첫 확인, 동남아 중국서 한국 거쳐 일본으로

검은딱새의 이동경로 확인 현황[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검은딱새의 이동경로 확인 현황[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검은딱새의 이동경로가 우리나라에선 처음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철새 이동 연구의 하나로 수행 중인 가락지 부착 조사 결과 검은딱새의 이동경로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동경로가 확인된 검은딱새는 지난해 4월 6일 공단 연구진이 흑산도에서 가락지를 부착해 방사한 3년 이상의 수컷 어른새다. 이 딱새는 올해 4월 5일 약 870㎞ 떨어진 일본 교토에서 현지 민간 조류 전문가에게 발견됐다.


검은딱새를 발견한 마코토 다카하시 씨는 4월 19일 일본 야마시나조류연구소를 통해 공단에 발견 소식을 전해왔다.

관련기사



이로 인해 동남아시아나 중국 남부에서 월동하는 검은딱새가 번식을 위해 일본으로 북상할 때 우리나라 남부 지역을 경유해 이동한다는 사실, 검은딱새의 수명이 4년 이상임을 확인됐다.

가락지 부착 조사는 조류를 포획한 뒤 국가명과 고유 번호 등을 표기한 가락지를 다리에 부착해 다른 지역에서 관찰하면 이동경로를 확인하는 보편적인 철새 연구 방법이다.

한편 연구진은 해외 연구소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쇠개개비, 알락꼬리쥐발귀, 개개비, 숲새 등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발견해 현재까지 총 19종에 이르는 철새의 이동경로를 확인했다.

김진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