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유가 고공행진에 5월 수입물가 상승률 1년6개월만에 최대

수입물가지수는 2014년 11월 이후 최고

국제유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10일 전국 평균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북적이는 서울의 한 주유소의 모습./연합뉴스국제유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10일 전국 평균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북적이는 서울의 한 주유소의 모습./연합뉴스



지난달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수입물가도 1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18년 5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한 달 전보다 2.7% 상승한 87.09를 기록했다.

수입물가는 올해 1월부터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최근 3개월 수치를 보면 수입물가 상승률은 3월 0.5%, 4월 1.0%에서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달 상승률은 4.2%를 기록한 2016년 11월 이후 최대였다. 전년 같은 달 대비 수입물가 상승률은 8.1%로 작년 9월(10.8%) 이후 가장 컸다. 수입물가 지수의 수준 자체는 2014년 11월(91.23)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4월에 이어 국제유가가 수입물가를 끌어 올렸다. 4월 월평균 배럴당 68.27달러이던 두바이유는 지난달 9.0%나 오른 74.41달러로 조사됐다. 이에 원재료 수입물가가 6.1% 상승했고 중간재는 2.0% 증가했다. 자본재는 0.6% 하락했고 소비재 수입물가는 전월과 같았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원유(9.9%), 천연가스(LNG·4.8%), 철광석(10.8%)의 상승세가 뚜렷했다. 석탄 및 석유제품에 속하는 나프타(11.9%), 벙커C유(9.6%), 제트유(7.8%)도 크게 올랐다.

관련기사



수출물가지수는 84.63으로 한 달 전보다 0.9% 증가했다. 수출물가 상승률은 올해 2월(1.0%) 이후 최대였다. 원·달러 환율이 4월 달러당 평균 1,067.76원에서 지난달 1,076.39원으로 상승한 점이 수출물가를 밀어 올렸다. 농림수산품 수출물가는 1.9% 내려갔으나 공산품은 1.0% 올랐다. 구체적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인 경유(8.0%), 제트유(7.1%), 휘발유(9.7%), 벙커C유(12.7%)의 수출물가 상승세가 뚜렸했다. 반면 중국의 저가 제품 공급 확대로 TV용 액정표시장치(LCD)의 수출물가는 5.7% 하락했다.

환율 영향을 제거한 계약통화(실제 계약할 때 쓰는 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한 달 전보다 2.3%, 수출물가는 0.4% 각각 상승했다.

/장유정인턴기자 wkd1326@sedaily.com

장유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