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보환硏, 하수처리 신기술 세계 최초 개발…기존 기술보다 전기료 25% 절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하수처리과정의 하나인 암모니아 제거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25%가량 절감하는 신기술을 세계최초로 개발했다.

도보건환경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암모니아 함유 하·폐수에서 암모니아를 부분질산화하는 방법’ 기술을 특허 취득했다고 21일 밝혔다.

주로 분뇨와 음식물 찌꺼기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모니아는 하수 처리 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된다. 제대로 처리되지 않을 경우 하천이나 호수 생물에 독성을 유발할 뿐 아니라 녹조의 주요 원인이 된다.


암모니아는 물속에서 산소를 만나면 미생물에 의해 아질산성질소(NO2)로 바뀌게 된다. 여기서 한 차례 더 산소를 공급해 주면 질산성질소(NO3)로 바뀌고, 여기에 탄소를 공급하면 공기 중에 흔한 질소로 바뀌면서 하수에서 제거된다. 이 때문에 하수처리장에서는 수조 바닥에 관을 설치하고 송풍기로 대기 중의 공기를 강제로 주입, 산소를 공급하는 과정을 거친다.

관련기사



이번에 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개발한 기술은 두 차례에 걸쳐 산소를 공급해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기존 과정을 한 단계로 단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도보건환경연구원은 암모니아 제거 기능을 가진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과정 단축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처리 과정이 줄어들면서 기존 방식 대비 25%의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이 기술은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어 겨울철 처리효율이 낮은 국가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이 기술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미래유망기술 10선 중 하나로 소개한 바 있는 아나목스 기술의 초석이 될 수 있어 더욱 가치가 높다”면서 “관련 기술을 민간에 보급해 수질개선과 물 기업의 이윤 창출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