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日 조선인 강제노역,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 전문에만 명기

‘강제노역’ 직접 표현 아닌 우회적 표현 사용

정부 “日정부, 희생자 기리는 조치 취해야”

세계유산에 등재된 ‘군함도’ 등 일본 근대산업시설에 조선인 강제노역 관련 사실이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에 반영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강제노역’이라는 직접 표현이 아닌 “자신들의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환경에서 일하기를 강요받았다”는 내용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24일(현지시간) 바레인에서 개막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채택될 대(對) 일본 결정문 전문(前文)과 본문 각주에 일본 근대산업시설 내 강제노역 관련 내용이 반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한국인 등이 자신들의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환경에서 일하기를 강요받았다(forced to work)는 문구가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15년 7월 독일 본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당시 사토 구니 당시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가 낭독한 정부 성명을 인용한 것이다.

관련기사



지난 2015년 군함도 등 일본 근대산업시설 23곳은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당시 일본 정부는 7곳의 시설에서 1940년대 한국인 등의 강제노역이 있었음을 인정하는 발언을 했다. 그러나 작년 11월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한 ‘유산 관련 보전상황 보고서’(경과 보고서)에는 ‘강제’(forced)라는 단어 대신 ‘지원’(support)이라는 표현이 쓰여 논란이 됐다. 보고서는 “2차대전 때 국가총동원법에 따라 전쟁 전과 전쟁 중, 전쟁 후에 일본의 산업을 지원한 많은 수의 한반도 출신자가 있었다”고 적었다.

우리 정부 당국자는 “작년 일본의 경과 보고서 내용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정부의 입장은 단호하고 확실하다”며 “그것을 이번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확인 받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특히 “추후 일본 측이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를 충실하고 조속히 취할 것을 촉구하겠다”면서 “이는 한일 간 문제이기도 하지만 국제사회가 함께 다뤄야 할 문제인 만큼 세계유산위원회 회원국과 전문가, 국제사회와 협력해서 이 문제를 환기하고 긴밀한 협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